일 NGO, 김정은에 ‘인권유린’ 서한

북조선난민구원기금이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에게 보낸 편지와 자료 우송 영수증.
북조선난민구원기금이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에게 보낸 편지와 자료 우송 영수증. (자료-북조선난민구원기금 제공)

0:00 / 0:00

앵커: 일본의 인권단체들이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에게 북한의 반인도범죄 실태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일본의 북한 인권 단체 ‘북조선난민구원기금’이 한국의 북한인권정보센터에서 발간한 보고서에 수록된 북한 인권 침해 실태를 확인해 달라는 편지를 지난 7일 김정은 제1비서에게 보냈습니다.

이 단체의 카토 히로시 대표는 이날 일본의 수도 도쿄에서 열린 북한 인권 토론회가 끝난 직후 김 제1비서에게 이와 같은 편지를 보냈다고10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카토 대표: 북한의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 앞으로, 수 십년간 북한 당국이 자행한 북한 주민의 인권 침해 실태와 관련한 자료와 편지를 등기우편으로 보냈습니다. 북한의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침해의 심각성을 알리는 북한인권정보센터 부설 북한인권기록보존소에서 발간한 자료인데요.

북조선난민구원기금은 지난 7일 도쿄에서 북한인권정보센터가 지난해 발간한 북한인권백서, 전거리수용소에서 자행된 반인도범죄에 관한 목격자 증언(A litany of North Korean Crimes against Humanity), 정치범수용소실태에 관한 자료(Political Prison Camps in North Korea Today, 2012 NKDB) 등을 바탕으로 토론회를 개최했습니다. ‘특정실종자문제조사회’, ‘북조선 귀국자의 생명과 인권을 지키는 회’ 등 일본의 인권단체들은 이날 북한인권정보센터의 자료에 나타난 북한의 심각한 인권유린을 검토하고 새롭게 조명했습니다.

이들 단체는 토론회가 끝난 후 북한에서 매우 심각한 수준의 인권 침해가 자행되고 있다는 데 경악을 금치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인권 유린 사례는 수 백 개의 자료와 전 세계의 언론보도, 8천 건 이상의 목격자 증언 등이 뒷받침하고 있고, 문제가 매우 심각한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들 단체는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에 이들 자료를 보내기 전에 북한 측에 설명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내 북측의 입장 설명을 듣기로 한 것입니다. 이들 단체를 대표해 북한으로 편지와 인권 침해 실태를 담은 자료를 우송한 북조선난민구원기금 카토 대표의 말입니다.

카토 대표: 북한 당국에서 답변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김 제1비서에게 저희가 보낸 자료에 오류가 있거나 관련 설명이 있으면 알려달라고 했습니다. 한 달 이내에 답변이 없을 경우, 자료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에 이 자료를 보내겠다고 편지에 명시했습니다.

이들 단체는 편지에서 북한측에 수감시설 등 북한 인권 실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조사위원들이 통제없이 북한에 들어가는 것을(unimpeded access to your prison system) 허용해 주길 촉구했습니다. 그러면서 만일 김 제1비서가 북한의 인권 실상에 대해 조속히 설명하지 않는다면 북한이 반 인도적 범죄에 해당하는 인권 침해를 자행한다는 묵시적인 승인으로 받아들일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유엔 북한 인권조사위원회는 지난 3월 제네바의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설치가 결정됐습니다. 북한의 심각하고 광범위한 인권 유린 행위를 철저하게 조사하고 이와 같은 위반 행위가 반 인도적 범죄에 해당하는 지를 밝히기 위해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