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북한을 빠져 나와 난민지위를 얻은 탈북민들이 미국에 정착한 지 어느덧 10년이 됐습니다. 미국의 수도 워싱턴DC에선 기념행사가 열렸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처음에 미국에 도착했을 때는 완전히 다른 별나라에 와 있는 것 같았어요."
"그렇게 힘들진 않았어요. 어쨌거나 북한보다는 나았거든요. 직장을 구해 일할 수 있었구요. 돈도 벌고 학교도 마음대로 다닐 수 있었어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힘들진 않았어요. 몸은 피곤했지만 행복했습니다."
미국에 정착한 탈북민들이 처음 미국에 도착했을 때 느꼈던 소감입니다.
한국의 인권단체 '노체인'은 6일 미국의 수도 워싱턴DC에서 탈북민 미국 정착 10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마련했습니다.
이 자리에는 난민자격으로 미국에 들어와 가정을 꾸리고 행복한 생활을 하고 있는 탈북민 세 명이 나와 지금까지 겪었던 미국생활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지난 2004년 미국의 북한인권법이 제정된 뒤 2006년 탈북민으로는 처음으로 난민자격을 얻어 미국땅을 밟았던 6명 가운데 한 명이었던 최 모 씨는 미국 동부 버지니아주의 수도 리치먼드에서 해산물식당을 운영하는 어엿한 사장님입니다.
7년 전에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온 서 모씨는 식당에서 생선초밥을 만드는 요리사로 자리 잡았고, 이민 온지 5년 된 김 모 씨는 리치먼드에 있는 대학교에서 식당을 하고 있는데 학생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행사에 참석한 미국 국무부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 특사는 "많은 탈북민들이 미국에 정착해 행복해 하는 모습을 보니 자랑스럽다"며 앞으로도 "미국 정부는 탈북민 정착은 물론 북한의 인권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로버트 킹 대사: 미국에 오는 것이 그렇게 쉽지 않았을 겁니다. 문화도 다르고, 언어도 다르고, 미국 정부가 해주는 지원도 제한돼 있어 한국정부보다는 미흡한 게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탈북자들이 미국으로 오려고 합니다. 우리는 그런 탈북민들이 미국으로 오는걸 기쁘게 생각합니다. 미국은 전세계 어느 나라보다 탈북민을 많이 받아 들이고 있습니다.
탈북민 최 씨는 미국생활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언어문제였으며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고향과 가족들 생각에 심적으로 힘들 때가 많지만 지역 한인들의 도움으로 잘 극복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탈북민 최 씨: 처음에 미국에 와서는 후회도 했습니다. 정착하기 더 쉬운 한국으로 갈 걸 하고 말이죠. 하지만 이미 미국에 왔으니 어쩔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10년이 지난 지금 생각해 보면 미국에 오길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미국은 저에게 살아남을 수 있는 힘을 줬습니다. 미국은 저에게 물고기를 주지 않았습니다.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쳐 줬습니다. 그게 바로 지난 10년 동안 미국에서 배운 겁니다.
한편, 이번 행사를 마련한 정광일 노체인 대표는 "탈북민들을 받아 준 미국 정부에 감사한다"며 인사를 전했고, 행사장에서는 탈북민 화가 송벽 화백의 그림 전시회도 함께 열렸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