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일본정부가 6일 북한의 수소탄 실험과 관련 북한에 독자적인 제재강화 가능성을 언급한 가운데, 일본인 납치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일본 국내의 의견이 분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본에서 이혜원기자가 전합니다.
일본정부가 검토할 것으로 알려진 독자적 북한제재 이행이 지난해 재개된 일본인 납치재조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6일 오후 아베 총리가 각료들과 가진 제 2차 국가안전보장회의에 참석한 기시다 외무성은 기자회견에서 오전에 언급한 일본 정부의 독자적 북한제재 검토 발언에서 강도를 낮춰, "앞으로 북한의 반응과 유엔에서 관계국들의 움직임을 봐 가면서 북한제재 강화에 대한 문제를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태도의 변화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국가안전보장회의에 참석한 가토 가츠노부 납치문제 담당대신은 회의 후 가진 인터뷰를 통해 "납치문제는 납치문제로만 생각하여 대응할 것"이라며, 이번 북한의 핵실험과 납치문제를 연관 지어, 북-일간 대화가 단절되는 것을 피하려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한 납치문제를 담당하고 있는 정부관료도 납치문제와 핵실험 후 대북 제재를 묶어서 생각해선 안 된다는 의견을 피력하는 등 일본정부 안에서도 대북제재에 대한 고심하는 흔적이 보인다는 겁니다.
특히, 아베총리는 총리 취임직후부터 일본인납치피해자문제를 정권의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해 왔기에, 정부의 독자적인 대북제재가 납치문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지만, 그 결과는 밝지만은 않다고 언론은 보도했습니다.
한편, 납치피해자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피해자가족회의 대표 이즈카 시게오씨와 지원단체인 '스쿠우가이(구하는 모임)'의 니시오카 츠토무회장은 이번 북한의 핵 실험과 관련 긴급 성명을 발표하며 "핵실험으로 인해 납치문제가 또 다시 뒷전으로 밀리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는 동시에, "이번 핵실험이나 일본인 납치문제, 두 가지 모두 용납될 수 없는 폭력"이라고 비난했습니다.
일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이혜원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