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남북 민간단체가 6.15 공동선언 발표 15주년 기념 공동 행사를 서울에서 열기로 합의했습니다. 남측 정부가 행사를 승인하면 지난 2008년 이후 7년 만에 남북이 공동 행사를 열게 됩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과 북을 비롯한 해외 민간단체가 6.15공동선언 15주년 행사를 오는 6월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에서 여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그동안 남북이 장소 문제로 이견을 좁히지 못했는데 남측 준비위원회가 8일 오전 “북측과 해외측 대표단과 회의를 통해 서울 개최를 구두로 합의했다”며 이같이 발표했습니다.
남측 준비위원회는 전날 합의된 공동보도문도 공개했습니다.
남북은 공동보도문에서 “6.15통일시대를 열어나가기 위해 6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를 공동운동 기간으로 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남측 준비위원회는 8.15 공동행사와 관련해 “개최 장소는 다음 논의 때 결정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6.15 남북 공동행사가 성사되면 2008년 금강산 행사 이후 7년 만입니다.
이번 6.15 남북 공동행사에 대해 남측 정부도 긍정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 우리 정부는 문화, 학술, 체육 등 그동안 민족동질성 회복과 남북관계 발전에 도움이 되는 민간교류는 허용한다는 취지를 우리 정부는 가지고 있고, 이미 또 밝힌 바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취지를 살리는 방향에서 승인 여부를 검토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한편, 남측 준비위원회에 따르면 북측은 오는 7월 열리는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에 응원단을 파견하는 문제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남측은 유니버시아드 대회 기간 중 남북 대학생 간의 문화행사를 진행하자고 북측에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15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는 21개 종목에 170여 개국, 2만여 명의 선수단이 참가해 오는 7월 3일부터 14일까지 광주와 전라남북도 곳곳에서 펼쳐집니다.
북한은 이번 대회에 선수 75명과 임원 33명 등 108명을 파견하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