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외교부가 1994년 작성된 외교문서 38만여 쪽을 공개했습니다. 김일성 북한 주석 사망을 둘러싼 북한과 국제사회의 반응이 문서에 담겼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외교부가 28일 공개한 ‘1994년 외교문서‘.
생산된 지 30년이 지난 외교문서 2천5백6권, 38만여 쪽이 비밀에서 해제됐습니다.
1994년은 김일성 북한 주석이 사망한 해로, 당시 북한을 비롯한 각국의 급박한 움직임이 문서에 나타났습니다. 1994년 7월 9일 김일성 주석 사망 당시 북한중앙방송 내용입니다.
[북한중앙방송(지난 1994년)]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께서, 1994년 7월 8일 2시에 급병으로 서거하셨다는 것을 가장 비통한 심정으로 온 나라 전체 인민들에게 알린다.
문서에 따르면 당시 한국의 해외공관들은 일제히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했고, 세계 각국은 김 주석 사망 원인부터 후계 구도에 이르기까지 서둘러 정보를 교환했습니다.
당시 주요국 인사들과 접촉한 한국 외교관들이 보낸 문건에는 김 주석이 북핵 협상과 남북 정상회담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갑자기 세상을 떠나면서 정책이 얼마나 지속될지 불안해 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미국 당국자들은 김 주석의 아들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그 정책 방향에 대해 비판적인 전망을 내놓았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스탠리 로스 당시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선임보좌관은 반기문 주미한국대사관 공사와 면담하며, 김 위원장이 승계에 성공하더라도 경제난이 지속돼 많은 도전을 맞게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어 김 위원장이 핵개발에 있어 강경파라는 가정이 사실이고 그에 따라 북한이 협상에 복귀하지 않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면서, 핵개발 계획을 포기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한승수 당시 주미한국대사 보고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김일성 정책의 계속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중앙정보국(CIA)은 김 위원장의 과격함과 예측불가능한 면을 들며 꼭 그렇지는 않을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당시 개혁개방 흐름 속에 북한과 거리를 뒀던 러시아 당국자들도 북한의 미래를 부정적으로 예상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러시아 학자는 평양 근무 경험을 들며 “김정일 체제가 6개월 정도 지나면 군부가 본격적으로 정치에 개입할 것”이라면서 김 위원장이 1996년 말 정도까지만 집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중국은 상대적으로 이른 시점에 김 위원장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는데, 덩샤오핑 전 중국 국가주석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관련기사
최고지도자의 갑작스런 죽음에 각국 북한대사관은 혼란을 겪었습니다.
문서에 따르면 주베트남(윁남) 북한대사관은 김일성 사망 이튿날 언론 보도에 대해 ‘터무니없는 날조‘라며 항의했고, 이를 전한 베트남 매체가 북한 관영매체 기사를 제시하고서야 상황이 진정됐습니다.

러, 한국 우려에 대북 폐잠수함 인도 중단 정황
지금은 북한과 밀착을 이어가고 있는 러시아가 30년 전엔 한국 측의 우려에 대북 폐잠수함 수출을 중단한 정황도 공개됐습니다.
1994년 1월 러시아산 디젤잠수함 12척이 북한에 고철로 팔릴 것이란 언론 보도에 한국 정부가 우려를 나타내자, 러시아 측은 폐잠수함 인도 후 해체 상황이 불만족스러울 경우 잔여분 인도를 중단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같은 달 러시아 외무부 아태1국장도 주러한국대사관 공사를 만나 “판매된 잠수함은 엔진과 포격시설이 완전히 제거된 채 선체만 인도된, 재사용 가능성이 없는 고철 덩어리”라고 설득에 나섰습니다.
러시아가 팔기로 한 잠수함들이 모두 북한에 인도됐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번에 공개된 문서에 “러시아의 대북 폐잠수함 수출 계약 취소와 관련해 대외홍보하지 않을 것”이란 내용이 담긴 것으로 미뤄 인도가 중단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국 정부는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외교 행정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생산된 지 30년이 지난 외교문서를 매년 공개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홍승욱입니다.
에디터 양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