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 5세 미만 유아 사망률 1천명 당 18명”

앵커: 북한 내 5세 미만 유아 사망률이 신형 코로나 사태를 기점으로 점점 증가해 지난 2023년 1천 명 당 18명에 달했다는 유엔의 통계가 발표됐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아동사망률측정 통합기구(UN Inter-agency Group for Child Mortality Estimation)‘가 최근 발표한 세계 아동 사망률 관련 통계.

이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북한 내 5세 미만 유아 사망률은 1천 명 당 18명으로 총 6천196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생후 1년 이내의 유아 사망률(infant mortality)은 1천 명 당 14.54명, 생후 28일 이내의 신생아 사망률(neonatal mortality)은 1천 명 당 9.48명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유엔아동사망률측정 통합기구는 웹사이트에서 이는 북한 당국의 공식 추정치가 아님을 명시했습니다.


관련 뉴스

“북, 영·유아 영양 개선 주장...현실은 오히려 악화 가능성”

“혜산육아원, 영유아에 소화 힘든 강냉이 밥·죽 먹여”


북 유아 사망률, 2020년 국경봉쇄 이후 점증

북한의 유아 사망률은 고난의 행군 시기인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 급증했다가 2003년 급감 후 꾸준히 감소해왔지만 신형 코로나 사태로 북한이 국경을 봉쇄한 지난 2020년부터 조금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국 내 전문가들은 북한의 국경 봉쇄 이후 필수 예방접종을 받지 못한 어린이들이 다양한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을 우려한 바 있습니다. 지난해 6월 북한 취약계층의 건강권 관련 토론회에서의 김건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과 교수의 말입니다.

김건희 이화여대 간호학과 교수 (지난해 6월 토론회):북한 어린이들의 대다수가 예방접종을 단 한 차례도 받지 못했고, 그와 관련한 매우 다양한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며 심하면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이 불가능할 가능성도 큽니다.

함경남도 함주군 수흥리 병원에서 한 여학생이 유니세프의 지원으로 홍역 백신 접종을 받고 있다.
북한 어린이 홍역 백신 접종 함경남도 함주군 수흥리 병원에서 한 여학생이 유니세프의 지원으로 홍역 백신 접종을 받고 있다. (연합)

유엔아동기금(UNICEF), 즉 유니세프는 지난해 북한에 필수 백신 총 710만회 분을 공급한 바 있지만 이는 전체 예방접종 수요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입니다.

유니세프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3년 북한 내 DTP 백신, 즉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를 예방하는 백신의 1차 접종율은 41%에 불과했습니다.

북 유아 사망률, 한국의 6-8배 수준

2000-2023 세계 5세 미만 유아 사망률
2000-2023 세계 5세 미만 유아 사망률 2000년 대비 2023년 세계 각국의 5세 미만 유아 사망률 감소폭을 도식화한 그래프. 붉은색 원으로 표시된 저임금 국가들 중 북한이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검은 테두리 안 붉은색 원이 북한을 나타낸다. (UN Inter-agency Group for Child Mortality Estimation)

지난 2000년과 비교하면 2023년 북한 내 5세 미만 유아 사망률은 약 82% 감소했습니다. 전 세계 저임금 국가들 중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겁니다.

다만 북한의 유아 사망률은 여전히 한국의 6-8배 수준입니다.

지난 2023년 기준 한국의 5세 미만 유아 사망률, 1세 미만 유아 사망률, 신생아 사망률은 1천 명 당 각각 2.76명, 2.3명, 1.17명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이정은입니다.

에디터 양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