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북한 일부 병원들이 지역명을 따라 병원 이름을 바꾸고 치료비와 약값을 병원 안에 게시했습니다. 현지 주민들은 무늬만 남아있던 북한의 ‘무상치료제’가 완전히 사라진 것 아니냐는 반응입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3일 “최근 도 안의 병원들이 간판을 교체한 데 이어 병원 내부에 의료비를 게시했다”면서 “병원 건물에 들어서면 접수(카운터)에서 한눈에 보이도록 붙여 놓았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지난 2월, 병원 측에서 환자가 치료를 받게 될 경우 지불해야 할 기본적인 치료비 및 의료비용을 게시했다”면서 “병원에 처음으로 의료비 항목이 게시된 것이어서 이를 본 주민들이 대부분 적지않은 충격을 받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과거 북한에선 무상치료제에 의해 주민들이 병이 나면 언제든 병원에서 진찰을 받을 수 있었다”면서 “병원에 약이 없어 개인적으로 (약)을 구입해서 치료받을지언정 병에 대한 진단과 처방은 국가의 부담으로 (의료진으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이 소식통은 지난해 가을부터 기존의 ‘인민병원’ 대신 ‘포항구역병원’이나 ‘청진시종합병원’과 같이 병원 이름을 지역명을 딴 명칭으로 바꾸더니 공식적인 치료비까지 게시되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병원 접수실 앞에 붙인 치료비 내역에는 접수비용 내화 5천원, 진찰비 5천원, 렌트겐 비용 2만원, 진단서 5만원 등 비용이 제시돼 있고 아스피린과 페니실린, 디아제팜 등 약품 가격도 나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관련 기사
이와 관련 평안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5일 “요즘 병원에 가면 (치료비 뿐 아니라) 연관된 약품명과 가격까지 제시돼 있다”면서 “갑자기 맹장이 터지거나 사고에 의한 응급환자가 발생해도 돈이 없으면 치료받을 수 없게 장치를 만들어 놓았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과거 당국은 (북한의) ‘무상치료제’를 두고 “세상에서 가장 우월한 사회주의 보건제도, 인민의 건강과 장수를 최우선으로 위하는 당 정책이라고 자랑하면서 돈이 없으면 죽을병에 걸려도 병원 문전에도 가지 못하고 그냥 죽어야만 하는 곳이 인간 생지옥인 남한이라고 비난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던 당국이 사람이 병에 걸려도 돈이 없으면 치료받지 못하는 의료 체계로 전환한 것”이라고 이 소식통은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제는 (북한) 주민들이 환자치료에 불리하고 약도 제대로 공급받을 수 없는 열악한 의료체계 실정에 불만을 터뜨린다”고 덧붙였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김지은입니다.
에디터 양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