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군 당국이 최근 각 인민군부대 지휘관들의 출퇴근을 금지하고 경계태세를 강화하도록 지시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안창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안북도의 한 군 관련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6일 “최근 군 당국이 전연 지역 민경 부대를 비롯한 주요 부대들에 전투동원태세를 철저히 갖추도록 지시했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지난 주 화요일(4.1) 군 당국이 각급 부대 지휘관들이 부대를 떠나지 말고 자기 위치를 지키며 전투 준비와 경계근무를 강화할 것을 지시했다”며 “이에 따라 전연지역에서는 말단 대대, 중대까지 지휘관들의 출퇴근이 금지되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지휘관들의 출퇴근을 금지하는 건 무슨 정황이 발생하는 경우 부대가 신속하게 다음 행동으로 넘어가기 위해”서라며 “출퇴근이 금지되면 지휘관들이 무슨 정황이 있구나 하고 생각하는게 보통”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말단 지휘관들에게는 이번 지시와 관련한 이유가 통보되지 않았다”며 “1기 전투정치훈련이 끝난 다음날 갑자기 만단의 격동(대기)상태를 갖추라는 지시가 하달돼 대대, 중대 군관들이 의아해 하는 눈치였다”고 소식통은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다른 때처럼 부대가 전투진지를 차지한다든가, 긴장한 분위기가 느껴진다든가 하는 정도는 아니지만 지휘관들이 병영에서 군인들과 같이 생활하면서 군인들의 동원준비상태를 점검했다”고 밝혔습니다.
계속해서 “오늘(6일) 오전 지휘관들의 출퇴근 금지가 해제되었다는 말을 들었다”며 “각 부대가 주변 땅을 뚜지고 거름을 펴는 등 부업 농사(자체 농경지 농사) 준비에 돌입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관련기사
이와 관련 7일 함경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이번 지시는 한국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 내려진 것”이라며 “군단과 사단 주요 지휘관들에게 대통령 탄핵과 관련해 한국군이 그 어떤 군사행동을 감행할 수 있다는 내용이 통보되었던 것으로 안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전연(휴전선) 부대와 달리 함경북도에 주둔한 9군단에서는 연대장 이상 지휘관들의 출퇴근만 금지되었다”며 “전연에서 멀리 떨어진 후방 부대여서 그런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부대별로 비상소집 훈련이 진행되고 전투 근무가 강화되었다”며 “각급 간부들이 중대를 돌며 무기, 탄약 보관 상태를 검열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때아닌 조치에 지휘관도 어리둥절
이어 그는 “그럼에도 북남 간에 군사적 긴장상태가 조성되었을 때처럼 긴장한 상태는 아니었다”며 “5일 신문에 한국 대통령이 탄핵된 내용이 보도되자 일부 군관들이 ‘이것 때문이었구나’ 하고 스스로 이번 조치의 원인을 판단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4월은 넉 달에 걸친 동기 훈련이 끝나고 맞이하는 첫 달로 병사(사병)는 물론 지휘관도 마음의 탕개가 늦춰지는(정신적 긴장을 늦추는) 달”이라며 “많은 군관들이 이번 지시에 대해 ‘아닌 밤중에 홍두깨‘라고 생각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안창규입니다.
에디터 양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