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통일부는 북한이 선진적, 인민적 방역 추진 의지를 밝힌 것에 주목하며 이러한 조치가 국경봉쇄 정책의 변화로 이어질지 주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10일 통제 위주의 방역으로부터 선진적, 인민적 방역으로의 전환을 강조한 북한.
한국 통일부의 이종주 대변인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의 이러한 조치가 어떤 방향으로 구체화될지, 특히 북한의 국경봉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시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종주 한국 통일부 대변인: 정부는 이러한 흐름이, 즉 북한이 최근 새롭게 제시한 선진적·인민적 방역이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고 구체화되는지, 특히 국경 봉쇄 등 통제 위주의 방역 정책에서 조정과 변화 등의 조치로 이어질지를 주시해 나가고자 합니다.
북한은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사태 초기인 지난 2020년 1월부터 신형 코로나의 유입을 막기 위해 국경을 사실상 봉쇄해왔습니다.
이종주 대변인은 신형 코로나와 같은 감염병에 대한 공동대응은 남북 간 협력이 반드시 필요한 분야라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한국 정부가 현재 남북 간 신형 코로나 백신 협력의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는 않다고 밝혔습니다.
남북 백신 협력은 한국 국민의 안전, 한국 국민의 공감대, 북한의 의사, 국제사회의 동향 등을 감안해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설명입니다.
이에 더해 미국 등 국제사회는 신형 코로나 백신 접종에서 소외되는 나라가 없어야 하며 제재 등으로 코로나 대응에 어려움이 초래돼서는 안 된다는 확고한 공감대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국제사회는 국제 백신공급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북한에 백신을 지원하기 위한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지금까지 코백스가 북한에 배정한 코로나19 백신은 총 811만5천600회분으로 이는 총 405만7천800명, 즉 북한 인구의 약 16%가 접종할 수 있는 분량입니다. 다만 북한 당국은 이를 반입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 당국은 지난달 노동당 전원회의에서도 신형 코로나 비상방역이 가장 중요한 국가사업이라며 선진적, 인민적 방역을 위한 역량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기자 이정은, 에디터 오중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