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생포된 북한군, ‘전투 중 상당수 병력 손실’ 진술”

한국 정보기관인 국가정보원은 12일 “우크라이나군이 지난 9일 러시아 쿠르스크 전장에서 북한군 2명을 생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현지시간으로 11일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 2명을 생포했다고 공개한 것에 대해 확인한 것입니다.

국정원에 따르면 생포된 북한군 2명은 부상 당한 채 붙잡혔으며 현재 생명에 지장은 없는 상태입니다.

국정원은 지난달 27일에는 우크라이나군이 쿠르스크 전장에서 북한군 1명을 생포했지만 부상이 심해져 하루만에 사망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국정원에 따르면 이번에 생포된 북한군 중 1명은 지난해 11월 러시아에 도착해 일주일간 러시아 측으로부터 군사훈련을 받은 후 전장으로 이동했다고 진술했습니다.

또한 해당 군인은 훈련을 받기 위해 이동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으며, 러시아에 도착한 이후에야 본인이 파병된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와 함께 해당 군인은 전투 중 북한군의 상당한 병력 손실이 있었고, 본인은 낙오돼 4~5일간 먹고 마시지도 못하다가 생포됐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정원은 “북한군 포로와 관련해 우크라이나 정보당국(SBU)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관련 정보를 지속 공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우크라이나 정보국은 현지시간으로 11일 “한국 국정원과 협력해 한국어 통역사를 통해 그들(생포된 북한군 2명)과의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K011225dh2-.jpg
한국 국정원은 12일 우크라이나군이 지난 9일 러시아 쿠르스크 전장에서 북한군 2명을 생포한 사실을 확인했다. / 우크라이나 보안국 페이스북 영상 캡처

<관련 기사>

젤렌스키, “부상당한 북한 군인 2명 생포, 심문 중”Opens in new window ]

국정원 “우크라에 생포된 파병 북한군, 부상 악화로 사망 확인”Opens in new window ]

한편 우크라이나군이 북한군 생포에 성공하면서 향후 포로 신병 처리에도 관심이 쏠립니다.

국정원은 지난해 10월 29일 국회 정보위 비공개 국정감사에서 북한군 포로가 귀순을 요청할 경우 “국제법적, 국내법적으로 한국이 당연히 받아주어야 하는 상황”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다만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지난해 10월 30일 향후 북한과 포로 교환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북한군 포로의 한국 송환 가능성을 일축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