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김여정·김영철 회담 배석…김정은 ‘최측근’ 확인

0:00 / 0:00

앵커: 이번 남북 두 정상간의 회담에는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당 중앙위 제1부부장과 김영철 부위원장 단 2명만이 배석했는데요. 사실상 북한의 정책 전반을 이끄는 핵심실세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북 정상회담의 북측 공식 수행원 가운데 한국 언론의 가장 주목을 받은 이는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었습니다.

회담 내내 김정은 위원장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밀착 보좌’했기 때문입니다.

김여정은 남북 양측에서 각각 참모 2명만 배석한 오전 정상회담에도 김영철 당 중앙위 부위원장과 함께 배석자로 참석해 국정 전반의 핵심 참모임을 과시했습니다.

한국측에선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배석했습니다.

이번 회담에서 김여정의 소속이 당 선전선동부임이 확인됐지만, 김여정이 이에 그치지 않고 남북관계와 외교 전반 등을 포괄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김여정은 지난 2월 평창올림픽 개막식 때 북한 고위급 대표단을 이끌고 한국을 방문한 뒤 남북관계 등 각종 분야에서 보폭을 넓혀왔습니다.

당시 김여정은 김정은 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문재인 대통령에게 친서를 전달하기도 했습니다.

김여정은 이후 김 위원장의 한국 특사단 면담 당시 배석한데 이어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방문도 동행했습니다.

김여정과 함께 정상회담에 배석한 김영철 부위원장 역시 김정은 위원장의 최측근으로, 이번 남북 정상회담에서 서훈 국정원장의 상대로 참석했습니다.

대남사업 전반을 총괄하는 김영철은 지난 2월 평창올림픽 폐회식을 계기로 한 방남을 전후해 본격적으로 ‘한반도의 봄’을 끌어낸 북측 주역으로 활약했습니다.

이후 김영철은 국정원-통일전선부 창구를 통해 서훈 국정원장과 긴밀히 협의하며 남북, 미북 정상회담의 밑그림을 그려왔습니다.

한국 내에선 김영철이 향후 남북관계 뿐 아니라 비핵화 협상 과정 전반에 참여하며 막중한 역할을 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 국정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최근 간담회에서 북한에서 통일전선의 범위가 한반도에서 주변국으로 확장되는 추세를 고려할 때 향후 김영철의 역할 증대가 예상된다고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