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이산가족 상봉, 속도·완급 조절할 일 아냐”

0:00 / 0:00

앵커: 한국 통일부는 추진 중인 남북 이산가족 상봉과 관련해 한국 내 정치 상황 등을 고려해 속도 조절을 하며 접근할 사안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24일 내년 설을 계기로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되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이인영 한국 통일부 장관.

한국 통일부는 26일 이와 관련해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추진하는 사안인 만큼 속도나 완급을 조절해 접근할 사안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차덕철 한국 통일부 부대변인: 이산가족 상봉은 이산가족들의 아픔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린다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추진하는 사안으로, 한국 내 정치 일정 등에 따라 속도나 완급을 조절하여 접근할 사안은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한국 정부가 앞으로도 어떠한 정치적 고려 없이 이산가족들의 분단으로 인한 고통 완화와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이인영 한국 통일부 장관은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문재인 한국 대통령 임기 중 마지막이 될 내년 설에 대면이나 화상 등 형식과 상관없이 이산가족 상봉이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통일부는 이날 한국 정부가 남북 간 인도주의적 협력이 정치, 군사적 상황과는 별개로 지속돼야 한다는 입장을 일관적으로 유지해 왔다며, 특히 이산가족 문제는 천륜 문제이기도 한 가장 시급한 인도적 사안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대면 상봉이 어렵다면 화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화상상봉장 구축 등 제반 준비를 마친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는 올해 화상상봉장 7곳을 추가 증설하고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비대면 상봉이 가능하도록 준비해왔습니다.

기존 13곳의 상봉장이 수도권에 집중돼있어 접근성 문제를 해소하는 차원에서 취한 조치입니다.

한국 통일부는 북한 내 핵시설 동향과 관련해서는 “한미 간 긴밀한 공조 하에 북한의 핵과 미사일 활동을 지속적으로 감시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남북이 정상회담 등에서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 목표에 합의한 바 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 집권 초·중반기와 비교해 지난 2018년 이후 북한 군의 위상 하락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한국 내에서 제기됐습니다.

고재홍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책임연구위원은 이날 ‘2018년 이후 북한 군사동향의 특징과 전망’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2018년도를 북한 군사부문의 이른바 ‘변곡점’으로 볼 수 있는 시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때를 기점으로 김정은 총비서의 부대방문과 참관활동이 감소했고, 북한 군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전략핵 개발 일변도에서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대구경조종방사포, 단·중거리 순항미사일 등 전술핵 및 재래식 전력개발 중심으로 비중을 조정했다는 설명입니다.

고 책임연구위원은 또 북한 군이 전면전보다는 기습 타격 중심의 단기제한적인 국지전 수행능력 향상에 힘을 쏟고 있고, 군의 역할을 홍수·태풍 등 자연재해 방지와 전염병 대응 등 비전투 부문으로 확대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2018~2021년 북한의 다양한 군사동향이 보여주는 특징을 ‘북한 군부의 위상하락 현상’이라는 하나의 경향성으로 정리하면서, 결국 남북 간 ‘9·19 군사합의’ 유지를 비롯한 남북관계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홍승욱입니다.

기자 홍승욱, 에디터 오중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