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철도·도로·산림 분과회의 잇따라 개최

0:00 / 0:00

앵커: 남북이 철도·도로 연결과 산림협력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잇따라 분과회의를 열기로 했습니다. 철도와 도로 연결은 한국 문재인 정부가 구상하고 있는 '한반도 신경제구상'의 핵심 사업이기도 합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남북이 군사와 체육에 이어 철도와 도로, 산림 분야까지 협력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통일부에 따르면 철도협력 분과회의는 26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도로협력 분과회의는 오는 28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각각 개최됩니다. 또 산림협력 분과회의는 다음 달 4일 열기로 했습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지난 6월 1일 남북 고위급회담에서 6월 말에 철도·도로협력 분과회의, 그다음에 산림협력 분과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철도·도로협력 분과회의는 2008년 이후 10년여 만에 이뤄지는 겁니다.

당시 남북은 철도에 대해선 개성-신의주 철도 개보수 문제와 문산-봉동간 화물열차 운행문제, 그리고 베이징올림픽 응원단 열차운행 관련 긴급보수 문제 등을 논의했습니다. 도로와 관련해선 개성-평양 고속도로 개보수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진행 중인 만큼 이번 철도·도로협력 분과회의에서는 북한 철도·도로의 실태조사와 공동 연구에 대한 기본적인 논의만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 측은 김정렬 국토교통부 2차관이 두 분과회의에 모두 수석대표로 나서고 북한 측은 철도는 김윤혁 철도성 부상, 도로는 박영호 국토환경보호성 부상이 각각 수석대표으로 나섭니다.

한국 통일부 당국자는 이번 철도·도로·산림협력 분과회의를 통해 ‘판문점 선언’의 이행 방안을 충실하게 협의하여 남북관계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항구적인 한반도 평화정착의 토대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철도와 도로를 현대화하고 남북 간 교통망을 연결하는 것은 한국 정부가 구상하고 있는 ‘한반도 신경제구상’의 핵심 사업이기도 합니다.

김영윤 남북물류포럼 회장: 남북한과 유라시아를 아우르는 하나의 경제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 철도와 도로 연결입니다.

남북 간의 산림협력은 한국 정부가 오래전부터 준비해온 분야입니다. 산림 분야는 상대적으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저촉될 여지가 적어 남북이 바로 진행할 수 있는사업 중 하나로 평가받아왔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노재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