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북한당국이 북-중 합작회사의 공장에 감시카메라(CCTV)를 설치하고 공장 지배인과 종업원들을 집중 감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측 투자자의 요청에 의해 감시카메라가 설치되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26일 도 무역국 간부의 말을 인용해 “최근 우리나라에 투자하는 중국기업들이 우선 요구하는 사항은 감시카메라 설치”라며 “중국 투자자들은 공장감시카메라 설치 여부가 합작사업의 성패를 가르는 것처럼 주장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얼마 전 청진시에 소재한 한 중국합작업체에서 투자자와 현지관리인들 사이에 큰 다툼이 있었다”면서 “투자액에 비해 생산량이 터무니 없이 적은 데에 의심을 품은 투자자가 감시카메라에 찍힌 영상을 근거로 관리자(지배인)에게 조직적인 생산품 빼돌리기 문제를 제기한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중국 투자자가 생산품 빼돌리기 문제를 제기하면서 합작업체 철수까지 고려하겠다고 강력 항의했다”면서 “한 명의 해외 투자자가 아쉬운 우리(북한)측이 사법기관까지 동원해 상황을 정리하려 했지만 감시카메라에 잡힌 영상을 증거로 제시하는 바람에 망신만 당했다”고 토로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 “합작회사의 중국인 투자자는 정전이 되어도 작동하는 태양전지 감시카메라를 설치해 생산현장을 감시해왔다”며 “직원들이 생산품을 몰래 빼내는 현장이 고스란히 잡힌 영상자료를 들이대자 회사지배인이 생산품 횡령을 인정하고 사과하기에 이르렀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아직도 감시카메라에 대해 잘 모르는 노동자들은 틈만 나면 현장에서 원자재와 생산품을 빼돌리고 있다”면서 “하지만 노동자들 보다 원자재와 생산품을 무더기로 빼돌리는 것은 주로 관리인들”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26일 “조-중 합작업체에서 자재와 상품이 유실되는 현상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면서 “때문에 새로 투자를 검토하는 중국기업들은 물건 빼돌리기 방지용 감시카메라의 설치를 최우선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오래전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는 정전이 되면 아예 작동이 중지되기 때문에 무용지물이나 마찬가지”라면서 “공장 노동자들과 관리간부들은 정전된 틈을 이용해 재료와 생산품을 빼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과거 많은 투자자들이 조-중합작사업에 나섰다가 공장 지배인과 종업원들의 물건 빼돌리기로 인해 투자금을 날리고 철수한 경우가 많다”면서 “아무리 24시간 감시카메라로 생산현장을 살핀다 해도 공장 노동자와 간부들의 물건 빼돌리기를 완전히 차단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중국 상무부는 유엔 대북제재 결의 이행의 일환으로 지난해 9월28일 공고문 55호를 내고, 120일 안에 북중 합작 기업을 폐쇄해야 한다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중국기업이 북한 또는 제3국에서 북한 기업이나 개인과 만든 기업도 폐쇄 대상입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김지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