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집단체조 신아리랑축전, 외화벌이 수단으로 등장

북한이 지난 9일 정권수립 70주년(9·9절)을 맞아 평양 5월1일 경기장에서 집단체조 '빛나는 조국' 개막 공연이 열렸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0일 보도했다.
북한이 지난 9일 정권수립 70주년(9·9절)을 맞아 평양 5월1일 경기장에서 집단체조 '빛나는 조국' 개막 공연이 열렸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0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제공)

0:00 / 0:00

앵커: 북한이 정권수립70주년에 때 맞춰 준비한 집단체조공연 ‘신아리랑축전’이 새로운 외화벌이 자원으로 등장했다는 소식입니다. 중국 언론과 여행사들이 ‘신아리랑’축전을 앞장서 선전하면서 중국인 관광객들의 공연관람 신청이 대폭 늘어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관련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길림성 연길(옌지)시의 한 소식통은 10일 “요즘 북조선관광 상품을 다루는 여행사마다 ‘신아리랑축전’ 때문에 호황을 누리고 있다”면서 “북조선이 ‘신아리랑축전’을 제작하면서 조선과 중국의 전통적 우의를 강조하는 조·중친선 내용을 잘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여행사가 모든 방법을 동원해 관광객을 유치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라면서 “연길을 비롯한 변경 도시의 여행사들은 이번 조선의 집단체조공연을 기회로 삼아 북조선 관광객을 모집하는데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북조선의 9.9절을 맞아 중국의 주요 언론사들이 전통적인 중·조 우호선린 관계를 강조하고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기회를 틈타 북조선관광과 ‘신아리랑축전’ 공연관람을 묶어 다양한 형태의 관광상품을 내놓은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길림성의 국제여행사들은 북조선의 ‘신아리랑축전’을 따로 소개하는 관광홍보 책자까지 마련해 배포하고 있다”면서 “이에 맞장구를 치듯 CCTV와 인민일보 등 중국의 관영매체들이 9.9절 열병식과 ‘신아리랑축전’ 공연 소식을 자세히 소개하면서 북조선관광을 신청하는 여행객이 급증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여행사들은 중국관광객들의 ‘신아리랑축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라선과 칠보산 관광상품은 아예 뒷전으로 미루는 실정”이라며 “라선관광은 850위안 짜리인데 ‘신아리랑축전’관람이 포함된 평양관광은 5천위안에 달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 연길시의 또 다른 소식통은 같은 날 “요즘 연길의 국제여행사들이 때 아닌 호황을 누리고 있다”면서 “북조선이 공화국창건일에 맞춰 ‘신아리랑’축전’을 내놓은 것이 중국인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있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조선의 아리랑 집단체조 공연은 오래전부터 중국사람들 사이에 잘 알려져 있다”면서 “연인원 10만 명 출연이라는 공연의 규모와 내용이 중국인들의 취향에 잘 맞는데다 공연 내용 중 일부는 중국과 관련된 내용을 중국어로 소개하고 있어 중국인들의 친근감을 불러오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신아리랑축전 공연이 북조선 당국과 중국 여행사들에는 좋은 돈벌이수단이 되고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하지만 수개월씩 학업까지 중단하고 공연 현장에 동원되어 고된 노동을 하고 있는 어린 학생들을 생각하면 안스러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중국은 지난해 9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통과된 대북제재 결의 2375호에 따라, 북한 기업이나 개인이 중국 기업과 합작해 설립한 식당을 포함한 기업들에 대해 폐쇄 명령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는 ‘북한 관광’을 제재대상으로 지정하지 않고 있어, 중국인의 단체 북한관광은 대북 제재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중국인들이 북한 관광에 나서 경비를 쓰는 것도 제재 위반이 아니라는 해석입니다.

이와 관련해 지난 2월 한국의 이해찬 당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모든 것이 유엔 제재를 받는다고 판단하는데 제재에 해당하지 않고 피해갈 수 있는 분야가 여럿 있다"며 "북한 관광은 제재 대상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인의 북한 관광 재개를 촉구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