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장관, 탈북자단체 간담회...탈북 기자 취재 불허 설명

0:00 / 0:00

앵커: 한국의 통일부 장관이 탈북자단체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갖고 남북 고위급회담에서 탈북자 출신 기자의 취재를 제한한 것에 대한 통일부의 입장을 설명하고 탈북자단체들의 의견을 청취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한국의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24일 탈북자단체 3곳과 오찬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조 장관이 탈북자단체를 만난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1년 2개월 만입니다.

조 장관은 1시간 동안 진행된 간담회에서 지난 15일 남북 고위급회담에서 탈북자 출신 기자의 취재를 제한한 것에 대한 통일부의 입장을 설명하고 탈북자단체들의 의견을 청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많은 탈북자들의 의견이 수렴될 수 있도록 그런 차원에서 간담회를 준비했습니다.

조 장관은 간담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탈북자 정착 문제와 관련해 의미 있는 얘기를 나눴다며 비공개로 진행된 간담회인 만큼 구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기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탈북자단체들의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탈북자단체 중 일부만 참석했기 때문에 참석 단체를 공개할 수 없다는 게 통일부 측의 설명입니다.

대신 통일부는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간담회에서는 최근 남북관계 상황과 탈북자 정착지원 정책 전반에 대해 다양하게 논의됐다고 전했습니다.

통일부는 간담회에 참석한 탈북자단체장들이 탈북자 보호와 정착지원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소통을 요청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탈북자단체들의 이 같은 요청에 대해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앞으로 탈북자의 의견에 더 귀를 기울이면서 탈북자 정착지원 개선 노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조 장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남북 고위급 회담에 탈북자 출신 기자를 배제한 것에 대해 사과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간담회에는 당초 탈북자단체 4곳이 참석할 예정이었지만 1곳이 막판에 불참하겠다고 밝혀 3곳만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참석한 단체들이 모두 상대적으로 소규모인 것으로 전해져 탈북자단체 간담회의 취지를 살리기에는 부족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북한인권탈북단체총연합회에 따르면 북한민주화위원회와 탈북자동지회, 북한전략센터 등 30여개 단체는 이날 간담회에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북한인권탈북단체총연합 측은 탈북자 기자를 남북 고위급회담 취재단에 배제한 통일부가 공식적인 사과를 하지 않은 상황에서 면담에 응할 수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박상학 북한인권탈북단체총연합 상임대표: 한국 내 탈북자 인권단체가 30여개가 있는데요. 여기에 소속된 단체들은 단 1곳도 간담회에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통일부는) 북한 인권과 무관한 3곳의 탈북자단체만 불러 얘기를 나눴는데 무슨 소통이 이뤄졌다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이에 대해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기자들에게 당장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면담을 거절한 탈북자단체들에 대해서도 기회가 된다면 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한국 통일부는 지난 15일 남북 고위급회담을 앞두고 탈북자 출신 기자의 동행 취재를 막았습니다. 조 장관은 고위급회담이 끝난 뒤 가진 회견에서 불가피한 정책적 판단이었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러자 북한인권탈북단체총연합에 소속된 28개 탈북자단체들은 이틀 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통일부가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노재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