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정부가 유엔 총회에서 14년 연속으로 북한 인권 결의안을 채택한 것과 관련해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외교부는 18일 유엔 총회에서 북한 인권 결의안 채택을 위한 컨센서스에 동참했다고 밝혔습니다.
컨센서스는 표결 없이 합의 방식으로 의사를 결정하는 절차를 의미합니다.
한국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국 정부는 북한 주민들의 인권이 개선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해 나간다는 기본 입장을 가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이번에 통과된 북한 인권 결의가 남북 정상회담의 합의 사항과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환영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했습니다. 지난 9월 남북 정상 간의 합의를 환영한다는 내용은 이번에 새롭게 포함됐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유엔이 이산가족 상봉 재개,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남북 정상 간 합의 사항을 환영하고 있다는 점을 평가한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내 북한인권 단체들은 유엔에서 14년 연속으로 북한 인권 결의안이 통과됐다는 점에 대해 환영의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특히 이번 결의가 컨센서스 방식으로 채택된 5번째 사례라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권은경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ICNK) 사무국장은 “유엔 등 국제사회가 북한 인권 문제의 심각성을 확고하게 인지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습니다.
권은경 ICNK 사무국장 : 유엔 회원국 어느 나라든 북한 인권 문제를 지적하는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환경이나 분위기가 아닙니다. 그만큼 북한 인권 문제가 (여전히) 광범위하고 체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국제사회가 인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권 사무국장은 이어 “이번에 남북 정상회담을 환영한다는 입장이 반영됐다는 점이 특징”이라며 “남북대화 국면을 활용해 북한 인권을 개선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문제 의식이 담겨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습니다.
안명철 NK워치 대표는 “북한 인권 상황의 국제형사재판소 회부 권고가 이번에도 포함돼 있어 이를 환영한다”며 “하지만 여전히 북한은 정치범수용소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있어 수용소 해체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이 좀 더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오는 19일부터 나흘간 방한해 한국의 외교안보 당국자들과 북핵 문제를 논의할 예정입니다.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 :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9일 수요일부터 22일 토요일까지 방한할 예정인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한미 북핵 수석대표 협의, 워킹그룹 회의를 가질 예정입니다.
한국 외교부에 따르면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비건 대표는 20일 한미 북핵 6자 수석대표 협의를 가질 예정입니다. 21일에는 2차 한미 워킹그룹, 실무단 대면회의가 열립니다.
비건 대표의 방한을 계기로 열리는 한미 협의에서는 최근 미북의 접촉 동향, 내년 초 북핵과 관련한 외교 대응 전략 등 비핵화와 평화체제를 위한 실질적인 진전 방안이 논의될 예정입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목용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