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경협, 북한의 비핵화 진전 전제로 이뤄져야”

한국 문재인 대통령(왼쪽)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오른쪽)
한국 문재인 대통령(왼쪽)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오른쪽) (사진 - 연합뉴스)

0:00 / 0:00

앵커: 2차 미북 정상회담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한국 내 전문가들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 경제협력이 이뤄지기 위해선 북한의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청와대는 26일 “미북 정상회담을 통해 남북이 자유롭게 왕래하고 경제협력의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면서 “그 과정에 한국이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 문재인 대통령의 생각”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북한의 비핵화 조치를 견인하기 위한 미국의 상응 조치로서 한국의 역할을 활용해 달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남북 사이의 철도·도로 연결부터 남북 경제협력 사업까지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한다면 그 역할을 떠맡을 각오가 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의 이 같은 제안에 당시 트럼프 대통령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한국 청와대는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미국 측에 선택의 폭을 넓혀줌과 동시에 북한을 비핵화로 이끄는데 한국이 중재자 역할을 적극적으로 하겠다는 뜻을 담은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 내 전문가들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따라 남북경협의 재개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부소장: 김정은 위원장이 이번 회담에서 영변 핵시설, 동창리 미사일발사장 폐기에 합의한다면 이는 비핵화의 진전이고 싱가포로 정상회담의 합의 내용을 구체화했다고 볼 수 있는 겁니다. 이 경우 미국이 상응하는 조치로 대북제재 완화를 해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도 북한이 비핵화를 확실히 약속하고 비핵화의 진전이 이뤄지면 남북경협의 재개가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 김정은 위원장은 이번에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서 과감한 비핵화 조치를 보여주고 과감한 대북제재 완화를 이끌어내려고 할 것입니다. 비핵화의 수준과 속도에 따라 남북경협의 범위와 속도도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의 통일부 당국자는 지난 19일 기자들과 만나 “미북 협상 과정을 충분히 고려해 금강산관광 재개 등의 향후 추진 방향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노재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