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북 양 정상이 2차 정상회담이 열리는 베트남, 윁남 하노이에 26일 도착했습니다. 양 정상은 27일부터 약 다섯차례의 만남을 가질 것으로 관측됩니다.
베트남 하노이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베트남, 윁남 현지시간으로 26일 오후 9시쯤 2차 미북 정상회담이 열리는 하노이에 도착했습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탑승한 전용기 에어포스원은 하노이 노이바 국제공항에 착륙했습니다. 하노이 노이바 국제공항을 출발한 트럼프 대통령은 오후 10시를 넘겨 숙소인 JW메리어트 호텔에 도착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별도의 환영 행사 없이 곧장 숙소로 향했습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27일부터 본격적인 미북 정상회담, 베트남 방문 일정을 소화할 예정입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27일부터 1박 2일동안 미북 정상회담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최소 다섯차례 정도 만나 협의를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양 정상은 27일 만찬을 시작으로 미북 정상회담 공식 일정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의 만찬에 앞서 베트남 지도부와의 회동 일정을 소화할 예정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숙소인 JW메리어트 호텔은 경호, 보안성에서 뛰어나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다만 미북 정상회담과 관련한 주요 장소들과 거리가 떨어져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교통체증이 심한 하노이의 특성상 상황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의 동선이 길어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지난 20일 하노이에 도착해 김혁철 북한 국무위원회 대미특별대표와 정상회담 의제와 관련해 실무협의를 벌여온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지난 25일 저녁 JW매리어트 호텔로 숙소를 옮겼습니다.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 측과 협의한 내용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하기 위한 것으로 관측됩니다.
김정은 위원장도 26일 오전 미북 정상회담이 개최되는 하노이에 도착해 멜리아 호텔에 여장을 풀면서 2차 미북 정상회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전문가들은 이번 미북 정상회담에서 양 정상이 극적인 합의를 이룰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김준형 한동대 교수 (베트남 하노이 현지 한국프레스센터): 일반적인 정상회담의 경우 이 정도 시점이 되면 합의문 문구가 나옵니다. 하지만 미북 정상회담은 전형적인 정상회담과 다른 것 같습니다. 양 정상이 다섯차례 정도 만날 여지를 남겨둔 결정적인 이유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극적으로 타결할 수 있다는 여지 때문인 것 같습니다.
김 위원장은 하노이 도착 첫 일정으로 멜리아 호텔 인근에 위치한 북한 대사관을 1시간가량 방문했습니다.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등이 김 위원장을 수행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숙소가 멜리아 호텔로 확정되면서 미국 기자들이 상주할 프레스센터의 장소가 변경되기도 했습니다. 당초 미국 기자들이 머물 프레스센터는 멜리아 호텔에 차려질 예정이었습니다.
김 위원장과 미국 기자들이 멜리아 호텔에 함께 머물면서 발생할 수 있는 민감한 상황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 이같은 조치가 취해진 것으로 관측됩니다.
미북 정상회담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하노이 곳곳에서 보안, 경계가 강화되는 모습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멜리아 호텔 주변 일부 도로의 차량 통제가 이뤄졌고 장갑차를 동원한 베트남 군 병력의 모습도 포착됐습니다. 미북 정상의 행보를 취재하기 위해 하노이 곳곳에 취재진이 포진해있는 모습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베트남 하노이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목용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