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의 일부 시설을 복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북한이 발사대와 엔진시험 시설 등 핵심 시설이 아닌 부속건물 위주로 작업을 하고 있다는 관측이 한국 내에서 제기됐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연합뉴스는 6일 한국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동창리 발사장 복구 작업이 부속건물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발사대와 엔진 시험 시설이 핵심 시설로 꼽히는데 이를 제외한 부속 건물에 지붕과 문짝을 다는 등 복구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는 겁니다.
소식통은 지난해 6월 시작된 해체 작업이 7월쯤 중단됐고, 복구 작업이 이뤄지는 징후가 포착된 건 최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미사일을 이동시키는 철로가 지난해 철거돼 아직 복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핵심 시설 복구 여부는 더 분석이 필요하다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의 국방부와 통일부는 동창리 발사장 재건 움직임에 대해 관련 내용을 밝히는 게 적절하지 않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한국의 국가정보원은 5일 국회 정보위원회 간담회에서 동창리 발사장이 일부 재건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습니다.
미국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와 38노스에서도 이를 뒷받침하는 위성사진을 잇달아 공개했습니다.
재건 작업 배경에 대해 국정원은 미북협상 성공을 염두에 두고 발사장 해체 약속을 이행하려 작업에 착수했을 가능성과 함께 합의 결렬에 따라 미국 정부를 압박하려는 의도일 가능성을 모두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어느 쪽이든 미사일 발사나 핵실험 등 실제 북한의 도발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는 게 한국 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북한의 도발을 막으라는 미국 내 여론을 불러일으키려는 게 주요 목적으로 보인다는 겁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 : 실제 미사일 발사나 핵실험 같은 도발을 할 경우 또 다른 제재를 받게 되고, 중국으로부터도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트럼프 행정부를 압박하는 수준에서 도발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이는 차원에 머물 것으로 예상합니다.
한미 군 당국은 동창리를 비롯한 북한 주요 지역 활동을 면밀하게 추적하면서 감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