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통일부가 남북 이산가족 화상상봉을 추진하기 위해 미국과 독자제재 면제 문제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가 11일 남북 이산가족 화상상봉 장비의 북한 반출과 관련해 미국 독자제재 면제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 미국 독자제재 부분도 협의 중에 있고요. 이것이 마무리되면 저희가 그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 등을 북한측과 협의해 나갈 생각입니다.
백 대변인은 미국 독자제재 문제의 마무리 시점에 대해선 “예단할 수 없다”고 설명하면서 “남북 이산가족 문제의 시급성을 감안해 내부적으로 할 수 있는 조치들을 최대한 취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백 대변인은 내부적 조치와 관련해선 “북한에 전달할 품목 등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예산 마련이나 물품 구입”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는 현지시간으로 지난 8일 한국 정부가 신청한 남북 화상상봉을 위한 장비의 북한 반출에 대해 제재 면제를 결정했습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4월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8·15 광복절 계기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기로 합의한 데 이어 지난해 9월 평양 정상회담에서 이산가족의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 문제를 해결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한국 정부가 화상상봉 재개를 추진하고 있는 것에 대해 한국 내 이산가족들은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한국의 이산가족들은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선 전면적인 생사확인도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장만순 일천만이산가족위원회 위원장 :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한 13만 명 가운데 사망하신 분이 7만 7천 명 정도이고 살아계신 분이 약 5만 5천 명인데요. 이분들이 찾는 가족들의 생사 여부를 먼저 알아야 하지 않을까요.
남북 이산가족 화상상봉은 2007년을 마지막으로 중단됐습니다.
남북의 이산가족들은 2005년부터 3년간 이뤄진 화상상봉으로 모두 3천700여 명의 가족을 만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