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요즘 북한 보위성이 중국 주재 무역일꾼들의 해외계좌를 비밀리에 추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개인비자금이 발각될 경우 탈북자에 준하는 반역죄로 처단하라는 중앙당의 지시가 있었다고 현지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손혜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대련에 주재하는 한 북한무역일꾼은 20일 “지금 국가보위성이 중국 단둥을 비롯한 대련 등에 체류하면서 (북한)무역일꾼들의 사상동향 자료를 묶고 있다”면서 “무역관련 간부들이 중국에 상주하면서 무역거래를 하고있는 주요 대방은 물론 중국 대방들과 연결된 다른 나라 자료까지도 조사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비밀리에 진행되는 국가보위성 검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역일꾼들이 중국에서 사용하는 해외은행의 계좌 내역을 샅샅이 조사하는 것”이라며 “검열은 2차 조미정상회담이 실패로 끝나고 (김정은이)하노이에서 평양으로 귀국한 이후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보위성이 추적하는 대상에는 동북3성에 주재하는 무역일꾼들뿐 아니라 홍콩, 마카오 등에서 외화벌이를 하는 규모가 큰 조선무역대표부도 예외는 아니다”라면서 “이런 회사들의 경우, 무역거래를 하면서 중국은행을 통해 제3국으로 송금한 외화거래내역이 조국에 보고한 것과 일치하는가를 철저히 대조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특히 중국인 명의로 차명계좌를 개설하고 개인비자금을 축적한 무역대표가 있는지 이 잡듯이 살피고 있어 무역일꾼들이 공포감에 싸여 있다”면서 “개인 비자금 액수가 크든 작든 이번 조사에서 발각 될 경우 탈북을 기획한 반역죄로 처단하라는 중앙의 지시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북도의 한 무역일꾼은 “지난해에도 중앙에서는 군부에 소속된 평양무역회사를 집중적으로 검열해 간부들의 부정부패를 없애겠다고 소란을 떨었지만 정치세력간의 싸움일 뿐 실제로 국가무역부문에서 달라진 게 없다”면서 “무역회사를 제대로 정비하자면 반복되는 검열보다는 당중앙이 각 무역회사에 무리하게 할당하는 충성자금 제도부터 없애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무역회사의 외화재정에 대한 검열은 조선에서 외화관리기관으로 공식 명칭된 국가무역은행 검열국에서 진행해야 무역부문의 비리가 없어지고 경제를 바로잡을 수 있다”면서 “김정은 정권이 들어서면서 우리나라 검열사업은 모두 당조직지도부를 중심으로 한 국가보위성이 주도하고 있어 체제유지를 위한 간부 겁주기에 지나지 않는다”고 언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