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전격 철수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즉각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청와대는 22일 북한이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철수한 것과 관련해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고 후속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상임위원들은 회의에서 북한의 철수 배경을 분석하고 이 사안이 남북관계와 미북관계 등에 미칠 영향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남측 연락사무소장을 맡고 있는 천해성 통일부 차관은 기자설명회를 열고 북한의 철수 결정에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천해성 통일부 차관 : 정부는 북측의 이번 철수 결정을 유감스럽게 생각하며 북측이 조속히 복귀하여 남북 간 합의대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정상 운영되기를 바랍니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남북 연락대표간 접촉을 통해 상부의 지시에 따라 철수한다는 입장을 한국에 통보했습니다.
북한은 또 한국이 연락사무소에 잔류하는 것은 상관하지 않겠다며 실무적 문제는 차후에 통지하겠다고 언급했습니다.
천해성 통일부 차관은 북한의 철수 의도와 관련해선 “예단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천 차관은 “북한이 연락사무소에서 철수했지만 다른 남북 간의 연락통로는 정상적으로 가동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측 인력은 연락사무소에서 계속 근무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날 연락사무소에는 한국측 인원 69명이 근무했고 주말 동안에도 25명이 남아 근무할 예정입니다.
천 차관은 또 북한이 연락사무소에서 철수하면서 남북 이산가족 화상상봉 추진이 불투명해졌다고 말했습니다.
천해성 통일부 차관 : 북측 인원들이 철수했기 때문에 남북 이산가족의 화상상봉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가 조금 어려워진 것은 사실입니다.
한국 내 전문가들은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이 최근 한국 정부에 불만을 표시했다며 이번 연락사무소 철수 결정도 이런 일환에서 나온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 국제사회와 미국의 대북제재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남북 교류협력이 어렵다 보니까 한국 정부에 불만을 표시하고 압박을 가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국방부는 “올해 계획된 9·19 남북 군사합의 이행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북한과 군사회담 개최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현재 북한의 답신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남북은 지난해 9월 19일 군사합의서를 체결한 이후 지난해 말까지 비무장지대 감시초소(GP) 시범철수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 한강하구 공동수로조사 등의 군사합의 사항 등을 이행해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