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지난주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전격 철수했던 북한이 사흘 만에 일부 인원을 복귀시켰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북 간의 협의 창구인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25일 사흘 만에 복원됐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이날 환영의 입장을 표하면서 남북연락사무소가 앞으로도 본연의 기능을 계속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통일부에 따르면 남북연락사무소 북한 측 인원 일부는 이날 오전 8시 10분쯤 사무소에 복귀해 근무했습니다.
남북연락사무소에 복귀한 북한 측 인원은 연락대표 등 4~5명입니다. 평소 남북연락사무소에서 근무했던 인원의 절반 가량만 복귀한 셈입니다.
북한의 황충성, 김광성 남북연락사무소 소장 대리는 이날 복귀 인원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남북은 이날 오전과 오후 두차례에 걸쳐 연락대표 간의 협의를 정상적으로 진행했습니다. 통상 남북은 연락사무소에서 하루 두차례 연락대표 간의 접촉을 갖습니다.
한국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연락사무소가 완전히 정상운영됐는지 여부에 대해 평가하기는 좀 이르다”면서도 “북한 인원들의 복귀로 남북연락사무소는 정상운영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이날 접촉을 통해 “평소대로 교대 근무 차 남북연락사무소에 내려왔다”고 한국 측에 설명했습니다. “남북연락사무소가 남북 간의 합의에 따라 관련 사업들을 잘 해 나가야 한다는 뜻에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도 전달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남북연락사무소의 북한 인력 전원이 지난 22일 전격 철수했던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이와 관련해 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은 “북한은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대미 설득을 압박하기 위해 인원 철수를 결정했을 것”이라며 “또한 북한이 최근 주요 국가에 파견돼 있는 공관장들을 북한으로 불러들인 것과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북한 인원들이 이날 남북연락사무소에 복귀한 것에 대해서는 “북한 당국이 사무소 인원들에게 대외, 대남 정책과 관련해 모종의 방침을 전달한 뒤 복귀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일부 인원이 남북연락사무소에 복귀하면서 남북 간의 현안 논의가 조만간 이뤄질지 주목됩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 화상상봉과 관련해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면제 절차가 완료된 후 교류협력추진협의회의 의결도 이뤄졌습니다. 화상상봉장에 대한 개보수, 물자 구매 등 관련 절차가 진행 중입니다. 이런 것들이 마무리되면 북한과 협의해 나갈 계획입니다.
한국 국방부도 남북연락사무소의 재가동을 계기로 남북 군 당국간 합의를 이행하기 위한 논의가 조속히 진행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북한에 제의해놓은 군사회담과 다음달 1일부터 시작하기로 한 비무장지대(DMZ) 내의 공동유해발굴 문제 등과 관련해 북한의 답신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앞서 한국 국방부는 지난 6일 DMZ 내의 공동유해발굴을 위한 한국 유해발굴단의 구성을 완료했다고 북한에 통보했지만 북한으로부터 아직 아무런 답변을 받지 못했습니다.
노재천 국방부 부대변인 : 공동유해발굴과 관련해서는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세부 시행방안을 마련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3월 내 군사회담과 관련한 북한의 답변이 없을 경우 추가적으로 군사회담을 제안할지 여부에 대해 관련 부서가 검토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북한은 현재 DMZ 내의 모든 감시초소(GP) 철수와 서해 평화수역 조성 등을 논의할 남북 군사공동위원회의 구성을 위한 협의에 나서지 않고 있습니다.
공동경비구역(JSA) 내의 자유왕래 등 남북 간 주요 군사 합의 이행을 위한 논의 등도 진척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