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본격적인 방한 일정에 돌입했습니다. 오는 10일 열리는 한미 간 회의에서는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북한의 발사체에 대한 대응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을 방문 중인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9일 이도훈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만났습니다.
비건 대표는 이날 자신의 카운터파트, 즉 협상 상대인 이 본부장과 조찬을 함께 하면서 북한의 발사체 발사 등 한반도 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10일에는 이도훈 본부장과 다시 만나 북한 비핵화 문제 등을 논의하는 한미 워킹그룹 회의, 즉 실무단 회의를 열고 단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북한 발사체에 대한 대응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회의 중간에는 별도로 장소를 마련해 한미 북핵협상 수석대표 협의도 진행합니다.
김득환 한국 외교부 부대변인 : 오늘(9일), 내일 간 방한 중인 비건 대표와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를 갖고 한미 워킹그룹 회의를 공동 주재할 예정입니다.
한미 워킹그룹 회의에는 한국 측에서 이도훈 본부장을 비롯해 청와대와 국방부, 통일부 관계자들이 참석하고 미국 측에서는 비건 대표와 알렉스 웡 미 국무부 부차관보, 앨리슨 후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반도 보좌관 등이 참석합니다.
비건 대표는 같은 날 청와대를 찾아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나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을 만날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김연철 통일부 장관도 만날 예정입니다.
한국 내 전문가들은 한미 양국 간 열릴 회의에서 북한의 잇단 발사체 발사 등에 대한 평가와 향후 대응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 : 한국 입장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과 식량지원을 하겠다는 부분이 조율 대상이 될 것 같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에 대한 미국의 태도에 변화는 없을 것입니다. 기존의 제재를 계속 유지하고 FFVD(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를 향한 국제사회와의 제재 유지 공조, 이런 것들을 유지하고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힐 것 같습니다.
비건 대표와 이도훈 본부장은 한미 워킹그룹 회의가 끝난 뒤 외교부 청사에서 취재진에게 회의 결과를 설명할 예정입니다.
비건 대표가 한국을 찾은 것은 지난 2월 하노이회담 결렬 이후 처음으로 3박 4일 간의 일정을 소화한 뒤 오는 11일 워싱턴으로 돌아갑니다.
이런 가운데 9일 서울에서는 한·미·일 3국의 고위급 외교안보 당국자들이 참여하는 제11차 한·미·일 안보회의도 열렸습니다.
정석환 한국 국방부 국방정책실장, 랜달 슈라이버 미국 국방부 인도태평양 안보차관보, 이시카와 타케시 일본 방위성 방위정책차장 등 3국 수석대표는 북한의 잇단 발사체 발사에 대한 각국의 평가를 공유하고 관련 동향을 주시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미국 측에서는 마크 내퍼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보 대행도 참석했습니다.
한·미·일 3국 대표들은 또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국제적 의무를 준수할 때까지 유엔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의 완전하고 철저한 이행을 보장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한다는 공약을 재확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