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노르웨이를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미북 정상의 조속한 만남을 촉구하면서 이를 위해 이달 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 전에 남북 정상회담을 열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6월 말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 이전에 남북 정상이 만나야 한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노르웨이를 국빈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12일 오슬로대학에서 열린 오슬로포럼 기조연설 직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언제든 만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이 같이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회담 성사 여부나 시기는 김 위원장의 선택에 달려 있다”면서 “가능하면 6월 말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하기 전에 김 위원장을 만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습니다.
“하노이 회담 이후 3차 미북 정상회담이 이뤄지지 않아 겉으로 볼 때 대화가 교착상태에 놓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면서 “미북 간 공식 대화가 없는 동안에도 따뜻한 친서들을 서로 교환하고 있고 상대에 대한 신뢰와 변함없는 대화 의지를 표명하고 있어 대화 동력은 유지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대화 동력이 유지되더라도 대화하지 않는 기간이 길어지면 열정이 식을 수도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에게 조속한 만남을 촉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낸 것과 관련해서는 “전달될 것이라는 사실을 사전에 알고 있었고 전달받았다는 사실과 대체적인 내용도 미국 측으로부터 전달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남북, 미북 사이에 공식적인 회담이 열리고 있지 않을 때도 정상 간 친서들이 교환되고 있다”면서 “친서들이 교환될 때마다 한국과 미국은 그 정보를 공유하고 대체적인 내용을 서로 알려주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앞서 문 대통령은 이날 오슬로포럼 기조연설에서 “하노이회담 이후 대화가 교착상태지만 그것은 서로를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 : 2차 미북 정상회담 이후 대화가 교착상태를 보이고 있지만 그것은 서로를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지난 70년 적대해왔던 마음을 녹여내는 과정입니다.
문 대통령은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 1주년이 되는 날임을 강조하면서 “반드시 평화를 이룰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 : 1년 전 오늘 역사상 최초로 미북 정상이 싱가포르에서 손을 맞잡았고 두 정상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새로운 미북관계, 한반도 평화체제의 큰 원칙에 합의했습니다. 지금 그 합의는 진행 중입니다.
문 대통령은 “하노이회담 이후에도 미북 정상은 여전히 상대에 대한 신뢰와 대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면서 “국제사회는 대화를 통한 평화실현에 한결같은 지지를 보내고 있고 이는 지금 상황을 이겨내는 데 큰 힘이 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