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식 신생아 이름 안됩네다"

0:00 / 0:00

앵커: 북한당국이 주민들의 자녀 이름 짓는 문제까지 간섭하며 통제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일부 주민들이 한국의 어린아이 이름을 본떠 자녀들의 이름을 짓는 행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사상교양사업을 벌이고 있다고 현지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이명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안북도의 한 간부 소식통은 21일 "일부 주민들속에서 자식들의 이름을 정치적 각성이 없이 제멋대로 짓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것과 관련해 이를 대책할데 대한 중앙의 내부 지시문이 이달 초 하달되었다"면서 "이와 관련해 각 지역 당위원회의 지도 밑에 사회안전기관들이 협동하여 주민 교양과 함께 이를 대책(방지)하기 위한 사업에 들어갔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일부 주민들이 새로 태어난 자식들의 이름을 지으면서 앞으로 큰 사람이 되라는 의미에서 최고지도자의 이름을 본 따서 짓거나 점쟁이를 찾아가 점을 보고 띠에 맞는 이름을 짓는 문제들도 함께 제기되었다"면서 "그러나 무엇보다도 젊은 부부들이 자식의 이름을 한국식 이름으로 짓는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면서 중앙차원에서 대책마련을 지시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식 이름의 예는 지훈, 지원, 대성, 건일, 경은, 나리, 미나 등 북한에서는 지금까지 잘 쓰지 않던 이름입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지역당들에서는 사회안전기관과 협력하여 이름을 비사회주의식으로 지은 대상들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여 빠른 시일 내에 본인들에게 통보해주고 다른 이름으로 바꿀 것을 요구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이와 함께 기관 기업소와 인민반들을 대상으로 이름을 제멋대로 짓는 문제와 관련해 제기된 내용들을 종합하여 통보해주고 이런 현상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주민사상교양을 진행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이름을 정치적으로 애매하게 짓거나 비사회주의식 이름을 짓는 문제와 관련해 지난시기에도 여러차례 주민교양사업이 진행되었지만 그 때뿐 개선되지 않는 것에 대해 관련기관의 책임도 묻고 있다"면서 "정치적인 각성이 부족해 제멋대로의 이름을 이유도 묻지 않고 등록해준 사회안전기관들의 안이한 업무집행태도에 대한 검열도 예견되고 있어 해당기관 간부들이 긴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식 이름인지 여부는 일차적으로 안전부 등 등록 담당이 판단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같은 날"이름을 제멋대로 짓는 문제와 관련해 이를 대책 하기 위한 주민교양사업이 전국적으로 진행되면서 갓난 아이의 출생신고절차도 복잡해졌다"면서 "요즘에는 출생신고를 하려면 사회안전부 공민등록과나 분주소공민등록 담당자에게 이름을 짓게 된 배경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하는 관계로 주민들은 새로 낳은 자식들의 출생증을 발급받는데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심지어는 자식들의 이름 짓는 문제도 자기 마음대로 못하게 된 주민들은 어린 아이 이름마저 강압적인 방법으로 통제하는 중앙의 부당한 처사에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면서 "요즘 같이 모든 것이 어려운 상황에서 민생은 외면하고 오직 체제유지를 위해 어린 아이 이름마저 검열하는 당국을 비난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