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IPC, 즉 국제패럴림픽위원회는 오는 3월 개최될 2022 베이징 동계 패럴림픽, 즉 장애인올림픽에 최대 50여개국이 참가할 것이라며, 북한도 여전히 참가할 수 있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독일에 본부를 둔 IPC의 크레이그 스펜스 대변인은 18일 북한을 포함해2022 베이징 동계 패럴림픽 참가국이 결정됐는지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 질의에 "최종 패럴림픽 참가국 수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45~55개국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We still do not have the final number of countries for the Games but it is likely to be between 45~55.)
그러면서 물론 북한도 다른 국가들처럼 2022년 베이징 동계 패럴림픽 참가가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스펜스 대변인은 IOC, 즉 국제올림픽위원회가 2020년 도쿄 올림픽에 불참한 북한 국가올림픽위원회(NOC)의 자격을 2022년 말까지 정지하는 징계를 내렸지만, 앞서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힌 것과 같이 북한은 여전히 2022년 베이징 동계 패럴림픽에 참가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그는 IPC가 IOC와 다른 조직이며, 다른 규정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The IPC and the IOC are two different organisations. We have different rules.)
앞서, 북한은 동계 패럴림픽 사상 처음으로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에 참가했습니다. 북한은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에 마유철, 김정현 등 선수 2명과 임원 18명, 참관선수 4명 등으로 구성된 선수단을 파견한 바 있습니다.
당시 북한 장애인 노르딕스키 국가대표 마유철과 김정현은 평창 동계패럴림픽 장애인 크로스컨트리스키 남자 1.1㎞ 좌식 스프린트 경기에 출전해 모두 예선에서 탈락한 바 있습니다.
한편, IOC는 18일 개최국인 중국과 참가국들의 합의나 IOC의 재량권에 따라 북한이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참가할 가능성이 있는지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지난 9월 발표한 성명에서 밝힌 입장과 동일하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앞서,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지난 9월8일 성명을 통해 북한이 도쿄올림픽에 일방적으로 불참한 것과 관련해 북한 올림픽위원회의 자격을 내년 말까지 정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러면서 당시 바흐 위원장은 IOC 집행위원회가 북한 올림픽위원회의 자격정지 기간을 재고할 재량권을 갖고 있다면서, 북한의 참가 가능 여부에 여지를 남긴 바 있습니다.
한편, 미국 중앙정보국(CIA) 분석관을 지낸 수 김(Soo Kim) 랜드연구소 정책분석관은 1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의 베이징 올림픽 참가 여부는 코로나19에 따른 북한의 방역 조치에 달려 있다며, 북한이 여전히 국제사회의 백신을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이 베이징 올림픽에 대표단을 파견한다면 문재인 한국 정부가 환영할 만한 조치이지만, 실질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또다른 남북 교류의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아울러 미국 민주주의수호재단(FDD)의 데이비드 맥스웰 선임연구원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이 올림픽에 참가할 수 있도록 중국이나 한국이 IOC에 자격정지 번복 요청을 할 수도 있겠지만, 중국이나 한국이 IOC의 결정에 반하여 북한의 참가를 적극적으로 권유할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그는 코로나19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북한이 내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맥스웰 선임연구원: 북한은 코로나19로 인해 올림픽에 참가할 계획이 없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기자 이경하,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