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코로나와 수인성 질병 사망자 야산 매장 통제

북한의 묘지 전경. (2010년 9월)
북한의 묘지 전경. (2010년 9월) (/문성희 박사 제공)

0:00 / 0:00

앵커: 최근 북한이 코로나와 수인성 질병에 의한 사망자를 야산에 매장하지 못하게 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부 대도시에는 화장시설이 있지만 비싼 비용 때문에 일반 주민들은 이용할 엄두를 내지 못한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안창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 청진시의 한 주민 소식통은 18일 “최근 시내에서 코로나와 수인성 질병 등으로 사망자가 부쩍 늘어났다”며 “시와 구역 당국이 사망자를 시내에서 보이는 (가까운) 야산에 매장하는 것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청진시 당국은 시내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사망한 가족의 시신을 선산이 있는 고향이나 멀리 떨어진 시골에 모시지 않는 경우 화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며 “하지만 화장 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비용까지 비싸서 부담이 되기 때문에 화장장 이용을 꺼리는 주민이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함경북도에 하나밖에 없는 청진 화장장을 이용하려면 화장 비용으로 디젤유 50리터를 내야 한다”며 “디젤유 50리터면 (리터당 8600원·미화 1.2달러) 옥수수 120킬로를 살 수 있는 가격(약61달러)인데 이는 온종일 장사해야 옥수수 1~2킬로(내화 3600원~7200원)를 겨우 벌 수 있는 일반 주민에게는 엄청난 비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화장장 비용도 문제지만 가족의 시신을 자동차로 시골까지 운반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며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일반 주민들은 당국의 눈을 피해 이른 새벽에 가까운 야산에 봉분이나 매장 흔적도 없이 몰래 매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런 상황을 알게 된 당국이 통제 강화를 주문하면서 ‘산림감독원’들이 시내에서 가까운 공동묘지 부근 야산에 대한 순찰을 강화하고 있다”며 “시신을 매장하다가 산림감독원에게 걸리는 경우, 손이야 발이야 싹싹 비는 것은 물론 5~10만원(미화 7.10달러~14.30달러)을 뇌물로 찔러줘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화장장을 공짜로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간부들은 이런 상황을 전혀 알 수 없을 것”이라면서 “한평생 고생하며 힘들게 살다 간 일반 주민은 죽어서도 제대로 묻힐 한 뼘의 땅도 허락되지 않는 현실에 주민들은 분노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같은 날 함경남도 북청군의 한 주민 소식통은 “요즘 코로나와 수인성 질병으로 사망자가 늘면서 장례를 치르는 집을 많이 볼 수 있다”며 “당국이 읍내에서 보이는 가까운 야산과 도로와 철길에서 빤히 보이는 산에 시신을 매장하는 것을 통제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우리 도의 경우 함흥시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는 화장장이 없다”며 “당국에서도 화장장이 없는 읍 지역에서 사망자가 발생하면 인근 공동묘지에 매장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봉분이 없는 평토장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대부분 주민들이 장례 때 드는 비용, 추석과 기일에 묘소를 찾는 편리함 등 여러 이유로 집에서 가까운 야산에 묘를 쓰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며 “가족의 묘를 봉분이 없는 평토장으로 하는 것이 마음에 걸리지만 어쩔 수 없이 평토장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대신 자기 가족의 묘를 쉽게 가려볼 수 있게 평토장에 시멘트나 돌로 비석을 세우는 것이 유행으로 되고 있다”며 “평토장이 늘면서 미처 비석을 세우지 못한 주민들이 다른 묘와 헷갈려 제사를 지내는 웃지 못할 일도 발생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당국에서 가까운 야산에 묘를 쓰는 것을 통제하는 의도가 코로나 비루스(바이러스)와 수인성 병균이 시신을 통해 퍼지는 것을 차단하려는 데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또 당국이 봉분이 없는 평토장을 강요하는 이유는 미관상 보기 싫다는 이유도 있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한편 북한 당국은 21일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코로나로 의심되는 신규 발열 환자 수가 처음으로 100명대로 떨어졌다고 주장했습니다.

19일 오후 6시부터 24시간 동안 전국에서 신규 발열 환자 170여명만이 새로 발생했다는 설명입니다.

앞서 북한 당국은 19일, 일일 신규 발열 환자가 250여명 발생했다면서 "방역 상황이 완전한 안정 국면에 들어섰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에드윈 살바도르 세계보건기구(WHO) 평양사무소장은 지난 19일 북한의 이러한 주장이 맞느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세계보건기구는 지난달부터 북한 보건성으로부터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하는 것과 동일한 북한 내 신규 ‘발열자’ 수에 대한 보고서를 받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Since last month WHO has been receiving MOPH reports regarding the number of “fever cases” in DPRK which is the same as KCNA media reports.)

그러면서 보고서에 따르면 보고된 발열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As per the reports, we have observed a declining trend in the number of reported “fever” cases.)

이어 다른 국가들의 경험을 기초해 볼 때 신규 발열자 수 감소 이유는 다양할 수 있다며 정부의 검사 전략 변화에 따른 검사횟수 감소, 검사를 받는 사람들의 감소, 자가검사 증가 등을 그 예로 들었습니다. (Based on experience from other countries, the decline in numbers could be due to various reasons - reduced testing due to change is testing strategy by government, less people getting themselves tested or increase in self testing.)

또 세계보건기구는 북한 보건성에 발열자 관리와 치료 규약(protocol)을 포함해 발열자의 정의를 명확히 해달라는 요청을 계속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WHO continues to request MOPH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these “fever” cases including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protocol.)

기자 안창규,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