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코로나19,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로 인해 국경봉쇄를 지속하는 가운데 한국 내 전문가들은 북중 간 국경을 완전히 통제하기는 어렵다며 북한 내 신형 코로나 확산의 위험성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서울에서 서재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11일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사태와 관련해 노동당 정치국 회의를 열고 공동결정서를 채택한 북한.
북한은 17일자 노동신문 사설을 통해 공동결정서에 따라 신형 코로나 사태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국가적인 비상방역사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신형 코로나가 완전히 통제돼 더 이상 확산되지 않을 때까지 국경과 지상, 해상, 공중 등 바이러스가 들어올 수 있는 모든 공간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신형 코로나 확산 초기인 지난 1월 말 국가비상방역체계를 선포하고 중국과의 국경을 봉쇄하는 등 감염병 유입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한 바 있습니다.
북한 의사 출신인 김지은 대성한방병원 부원장은 이와 관련해 국경에서의 모든 접촉을 통제하기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신형 코로나 확진자가 없다는 북한 당국의 주장은 믿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김지은 대성한방병원 부원장: 북한이 국경을 차단함에 따라 사람들이 안 움직이니까 다른 나라들에 비해 신형 코로나 확진자가 적을 가능성은 있지만 국경에서 개인적인 교류나 밀수가 계속 이뤄지기 때문에 차단했다고 할지라도 확진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북한 보건의료 전문가인 안경수 한국 통일의료복지연구센터장도 북한이 중국과의 국경을 봉쇄하는 등 빠른 조치를 취했지만 북중 간 인적왕래가 여전히 있는 만큼 북한 내 신형 코로나 확산의 위험성이 존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통일부는 신형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북한과의 방역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한국 정부의 입장이라고 거듭 밝혔습니다.
조혜실 한국 통일부 부대변인: 향후 신형 코로나 관련 한국 내 상황이나 북한 상황, 국제사회 지원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판단해 나갈 계획입니다.
앞서 통일부는 지난 2일 한국의 한 민간단체가 신청한 신형 코로나 관련 대북지원 물품 반출을 승인한 바 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