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문 대통령 코로나백신 공급제안 거부할 것”

0:00 / 0:00

앵커: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이 동의하면 북한에 대한 코로나 백신공급 협력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북한은 이 제안을 거부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오스트리아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오스트리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동의한다면 북한에 대한 (코로나) 백신공급협력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한국이 글로벌 백신 허브, 즉 중심 역할을 할 경우 북한도 당연히 협력 대상이 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 해군분석센터(CNA) 켄 고스 국장은 1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문 대통령의 이 제안은 남북대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지만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고스 국장: 북한은 여전히 한국과 관여하는데 진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북한은 미국과의 관여가 먼저 시작되기 전에는 한국과 관여하지 않을 것입니다.

고스 국장은 그런데 현재 조 바이든 미 행정부는 한반도가 아닌 다른 국제문제를 우선시하고 있어서 북한과 관여하려는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미북 관계는 정체(stalemate) 상태라면서 이 가운데 한국이 어떤 제안을 해도 북한은 반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미국 랜드연구소의 수 김 정책분석관도 1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문 대통령의 코로나 백신 공급 제안은 북한에 남북대화의 문이 열려있다는 것을 다시 알리기 위한 것이지만 북한 역시 지금까지 한국의 모든 제안을 거부하면서 남북관계 개선에 관심없다는 신호를 보내왔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까닭에 북한 정권이 코로나 지원을 필요로할 지는 모르지만 문 대통령의 제안은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수잔 손튼 전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대행은 1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문 대통령의 대북 코로나 백신 제공과 관련해 문제는 북한이 어떻게, 언제 백신을 받을 수 있느냐는 것이라면서 북한 측은 외부인들이 북한에 들어와 백신을 분배하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들은 스스로 백신을 북한주민들에게 나눠주고 싶어할 것이라며 백신 분배 투명성은 외부로부터 백신을 받는 데 분명히 문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연구기관 애틀란틱카운슬의 로버트 매닝 선임연구원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은 그동안 코로나 감염이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주장해왔고 백신 분배에 필요한 투명성을 거부해왔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북한은 코로나19 백신 공동 구매·배분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70만4천회 분을 올해 하반기 중 공급받을 예정이지만, 북한이 코백스의 백신 분배감시를 꺼린다는 의혹이 제기돼 왔습니다.

세계백신면역연합(GAVI·가비)은 지난 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 내 코로나19 백신 분배감시가 시행되도록 북한 당국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아울러, 세계백신면역연합 대변인은 14일 북한에 대한 코로나 백신 제공 상황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이를 위한 일들이 진행 중이고 북한과의 대화가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Work is ongoing and discussions continue with DPRK.)

그러면서 잠재적인 북한에 공급할 시점이 가까와 옴에 따라 관련 시간표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As we get closer to a potential delivery, we'll be able to share more information on timetables.)

한편,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14일 문 대통령의 대북 코로나19 백신 제공 제안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논평 요청에 "우리는 북한에 (코로나) 백신을 제공할 계획이 없지만 가장 취약한 북한주민들에게 중요한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하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은 계속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While we have no plans to provide vaccines to the DPRK, we continue to support international efforts aimed at the provision of critical humanitarian aid to the most vulnerable North Kor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