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의 코로나19 백신 도입은 백신 보관에 필요한 시설 여부 보단 김정은 총비서 등 북한 지도부의 정치적 결정에 달려있다고 미국의 전문가들이 지적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6일 '북한의 예방접종 능력: 코로나19 캠페인 대한 영향'(North Korea's Vaccination Capabilities: Implications for a COVID-19 Campaign)이란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보고서는 북한이 갖춘 저온 유통 시설 체계, 사회기반시설을 통해 섭씨 2~8도 사이 표준냉장을 필요로 하는 아스트라제네카(AZ) 코로나19 백신을 전국에 보급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보고서는 화이자, 모더나 등 초저온 냉동 보관을 해야 하는 백신은 수도 평양 등에서 제한적으로만 보급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특히 보고서는 저온 유통 시설 체계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전기 공급이 필요하지만, 북한의 경우 전기가 부족해 지난 2003년 유럽의회 집행위원회 산하 인도주의지원사무국(ECHO)으로부터 태양열 냉장고 등을 지원받아 운영하기도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론적으로 충분한 재고와 준비 시간, 저온 유통 시설 체계를 갖춘다면, 북한 주민 2천500만명을 대상으로 1회 주사 백신의 경우 10일 이내에, 2회 접종 백신의 경우 2개월 내 예방접종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the North Koreans could, in theory, vaccinate the entire population of 25 million people in less than 10 days for single injection vaccines, and in under two months for two-shot vaccines.
하지만 보고서는 이러한 예측이 이상적인 조건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면서, 실제와는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These projections are based on ideal conditions, and the real-world experience would likely be much different.)
실제 앞서 유니세프(UNICEF·유엔아동기금) 대변인은 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 당국이 (백신 공동구매·배분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로부터 백신을 지원받기 위해 필요한 준비 절차를 아직 완전히 완료하지 않고 있다"며 "유니세프는 이 분야에서 기술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The Government has not yet fully completed the necessary preparatory steps required to receive COVAX-supported vaccines but UNİCEF is providing technical assistance in this area.)
이와 관련, 미국 중앙정보국(CIA) 분석관을 지낸 수 김(Soo Kim) 랜드연구소 정책분석관은 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의 예방 접종 문제는 적절한 준비가 아니라 예방 접종에 대한 지도부의 의지의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The issue with North Korea's vaccination program has less to do with the proper preparation than the leadership's willingness to carry out the vaccination program.)
코로나19 백신 도입 결정은 결국 김정은 총비서의 손의 달려있다는 지적입니다.
그는 인도주의 단체들로부터 백신 도입을 허용하면 국경도 개방될테지만 김 총비서는 북한 주민들에 대한 백신 접종이 시급한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국제사회가 이미 북한에 백신을 제공하기로 결정했지만, 북한이 글로벌 백신 공동 구매·배분 프로젝트인 코백스(COVAX)를 통해 지원받기로 했던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거부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 경제 전문가인 윌리엄 브라운(William Brown) 미국 조지타운대 교수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이 코로나19를 이유로 주민들을 통제하고 있기 때문에, 코로나19 백신 도입은 북한 정권의 정치적인 결정에 의해 결정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브라운 교수: 저는 북한 정권이 주민들의 움직임과 시장 활동을 통제하기 위해 코로나19 바이러스 문제를 이용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어 그는 코로나19백신을 도입하더라도, 북한의 일반 주민이 아니라 특권층을 위한 것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 민주주의수호재단의 데이비드 맥스웰 선임연구원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의 코로나19 백신 도입은 김정은 총비서가 받아들이지와 적절한 분배가 이뤄질지에 대한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기자 이경하, 에디터 이상민, 웹팀 김상일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