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백스, 북에 중국산 백신 300만여 회분 배정

필리핀 마닐라에서 한 여성이 중국산 코로나 백신인 시노백을 맞고 있다.
필리핀 마닐라에서 한 여성이 중국산 코로나 백신인 시노백을 맞고 있다. (/AP)

0:00 / 0:00

앵커: 코로나19, 즉 코로나 비루스 백신(왁찐) 공동구매·배분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가 북한에 중국산 코로나 백신인 시노백 300만여 회분을 배정하고, 현재 북한의 응답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에드윈 살바도르 평양사무소장은 1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백신 공동구매·배분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가 백신 지원 대상국들에 코로나19 백신을 최근 배정하면서, 북한에 (중국산 백신인) 시노백 백신을 297만 회분 배정했다"며 "여전히 이 제안에 대한 북한의 대답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During the latest round of COVAX vaccine allocation to AMC countries, 2.97 million doses of Sinovac is being allocated to DPR Korea. We are still waiting for the DPR Korea's response to this offer.)

세계백신면역연합(GAVI·가비) 대변인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코백스의 6차 코로나19 백신 분배 절차를 통해 북한에 시노백 백신 297만9천6백 회분이 배정됐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가비는 현재 해당 (백신) 지원이 운영되도록 북한과 대화 중에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Gavi is currently in dialogue with DPRK to operationalize the support.)

코백스는 앞서 올해 초 북한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99만 2천 회분을 배정했고 이후 최근 추가적으로 이보다 약 1백만 회분 더 많은 297만여 회분의 시노백 백신을 배정한 것입니다.

시노백 백신은 중국산 코로나19 백신으로 지난 6월 세계보건기구의 긴급 사용 승인을 받았지만, 최근 시노백 백신 접종을 완료하고도 코로나19에 감염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이른바 '물백신' 논란에 휩싸이며 면역 효과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 바 있습니다.

살바도르 사무소장은 이외에도 북한이 모든 백신 지원 대상국들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자금 지원 기회를 제안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A new funding opportunity to all AMC eligible COVAX participants to support vaccine delivery called COVID-19 vaccine delivery support (CDS) is being offered to DPRK.)

그러면서 "북한이 관심을 표하면 세계보건기구와 유니세프(UNICEF·유엔아동기금)가 가비에 제출할 제안서 관련 작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If the country will express interest, WHO and UNICEF will begin to work on the proposal to Gavi.)

이와 관련해 가비 대변인도 "코백스와 가비는 부분적으로 코로나19 면역 프로그램의 운영 비용을 지원할 수 있다"며 "이러한 자금은 (북한의 면역) 프로그램이 기술적 기준을 충족한다는 조건 하에 북한에도 제공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COVAX and Gavi can partially support operational costs of the COVID-19 immunisation programme. Such funds are available to DPR Korea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programme fulfills the established technical standards.)

지난 7월 가비는 '코로나 19 백신 전달 관련 지원(COVID-19 vaccine delivery support (CDS))'보고서에서 "코백스는 국가들이 코로나19 백신 (프로그램의) 규모를 신속하고 공평하게 확대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백신 운송을 지원하기 위해 가비는 모든 코백스 지원 대상국들에 자금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COVAX seeks to support countries to rapidly and equitably scale-up COVID-19 vaccines. To this end, Gavi is providing a funding opportunity to all AMC-eligible COVAX participants to support vaccine delivery.)

이런 가운데, 살바도르 사무소장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코로나19 백신들이 현재 섭씨 2~8도 사이에서 보관이 가능하며 북한은 기본 예방접종에서 좋은 실적을 거둬왔다"며 "콜드 체인(저온 유통망) 관련 물류 계획과 (관련 절차) 시행에 대한 감시 등 적절한 기술적 지원이 있다면 북한의 접종체계와 네트워크, 즉 유통망으로도 코로나19 백신을 분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습니다. (With COVID-19 vaccines now being able to be stored between 2-8'C and DPR Korea having a good track record on routine immunization, the DPR Korea immunization system and network is expected to manage the roll out of the COVID-19 vaccination with adequate technical support such as on cold chain logistics and monitoring and surveillance during its implementation.)

그러면서 "북한 관리들이 2020년 12월 코백스 백신 지원 대상국 참여에 대한 관심을 표한 이후로, 세계보건기구는 북한 당국이 코백스를 통해 코로나19 백신을 전달받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 필수 요건들을 완료하도록 계속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Since DPRK official expressed their interest to be part of COVAX AMC in December 2020, WHO continue to support DPR Korea government on completing the technical requirements to be eligible to receive COVAX facilitated COVID-19 vaccines.)

살바도르 사무소장은 이어 "북한은 이미 국가 백신 보급·접종 계획을 개발했고 (백신) 배분을 위한 기술적 지원 계획도 개발됐다"고 말했습니다. (DPR Korea has already developed the national vaccine deployment plan and a Technical Assistance (TA) plan for its roll out has also been developed.)

아울러 "세계보건기구는 북한 보건성으로부터 매주 코로나19 관련 소식을 전달받고 있다"며 이달 5일 기준 북한 내 보고된 코로나19 확진 사례는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한국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북한이 중국산 백신에 대한 불신으로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이상민,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