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약도 없어 방치되는 북 코로나 환자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의약품이 제때 공급되지 못하고 있다며 강력히 질책했다. 조선중앙통신은 16일 "조선노동당중앙위원회 정치국은 5월 15일 또다시 비상협의회를 소집하고 방역대책 토의사업을 진행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사진은 김정은 위원장이 마스크를 쓰고 평양시 안의 약국들을 찾아 의약품 공급실태를 직접 요해(파악)하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의약품이 제때 공급되지 못하고 있다며 강력히 질책했다. 조선중앙통신은 16일 "조선노동당중앙위원회 정치국은 5월 15일 또다시 비상협의회를 소집하고 방역대책 토의사업을 진행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사진은 김정은 위원장이 마스크를 쓰고 평양시 안의 약국들을 찾아 의약품 공급실태를 직접 요해(파악)하고 있다. (/연합뉴스)

0:00 / 0:00

앵커 :북한에서 고열과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코로나 증상 환자들이 급증하는 가운데 감기약도 없어 환자들이 치료를 받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바빠 맞은 당국에서는 환자들에게 전통적인 민간요법을 사용하도록 권유하고 있다고 현지소식통들은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의료부문 소식통은 15일 “요즘 코로나 환자가 급증하면서 환자들이 병원에 몰려 병실이 초만원 상태에 있다”면서 “병실에 격리조치만 되었지 증상을 완화시킬 약물치료 등 적당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바람에 사망자가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지금까지 독감이나 폐렴 증세로만 알았던 환자들이 대부분 코로나비루스 감염자로 밝혀지면서 감기약 등 약품 품귀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중앙에서 코로나방역을 최대비상방역체계로 가동하면서부터 감기약이나 해열제 등 치료약이 약국이나 어디서든 자취를 감추어 구할 수가 없게 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간혹 약국이나 약장사꾼들이 감기약이라며 팔고 있지만 대부분 가짜약으로 주민들은 국내에서 만든 감기 치료제는 믿을 게 못 된다며 외면하고 있다”면서 “실제로 청진시 수남구역에서 한 고열환자가 평양제약공장에서 생산한 것으로 표기된 감기약을 투여했다가 부작용으로 사망한 사례가 발생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15일 “요즘 코로나 감염자가 급증하면서 약품이 모자라 환자들이 속수무책으로 고열과 인후통에 시달리고 있다”면서 “코로나가 급속히 퍼지면서 중국산 감기약은 모두 자취를 감추고 국영제약회사가 만든 모조약(복제약)도 동이나 환자와 그 가족들이 애를 태우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의약품이 부족한 북한의 병원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모든 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약품과 의료기구 등을 환자 가족들이 직접 구입해 병원에 가져와야만 치료를 해주고 있다고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요즘 코로나 환자가 급증하면서 해열제나 감기약은 구할 수 없는 약이 되었다”면서 “코로나 치료와는 관계도 없는 조선약(한약)도 우황청심환은 1만원 하던 게 25,000원, 미화 약 4달러, 우황안궁환은 15,000원에서 35,000원(미화 약 2.5달러에서 약 6달러), 소체환도 8,000원(미화 약 1달러)으로 덩달아 올랐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또 “요즘 코로나 증세를 호소하는 주민들이 늘어나자 인민반 위생반장이 아침저녁으로 세대를 돌며 소금물로 손을 씻고 소금물 함수(가글)을 하는 것이 효과적인 코로나 예방법이라며 강조하고 다닌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이에 주민들은 코로나비루스를 소금물로 막을 수 있다면 다른 나라들에서 지난 기간 그렇게 많은 환자들이 발생했겠냐”면서 “영양상태도 허약한 주민들에게 민간요법으로 코로나에 대처하라니 그냥 앉아서 죽으라는 소리와 뭐가 다르냐며 비난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은 지난 12일 ‘국가방역사업을 최대비상방역체계로 이행할 데 대하여’라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결정서를 발표한데 이어 지난 14일에는 정치국 방역협의회를 진행하고 많은 환자들이 과학적 치료방법을 잘 알지 못해 약물과다복용을 비롯한 과실로 하여 인명피해가 초래되었다고 밝히면서 잘못된 치료약물에 의한 사망자 발생 사실을 인정한 바 있습니다.

기자 김지은,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