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의 전문가들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양종합병원 착공식에 참석했다는 보도와 관련해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감염증의 여파를 수습하기 위한 행보로 분석했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날 평양종합병원 착공식에 참석했다는 18일 북한 관영매체의 보도.
이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착공식에서 착공 배경을 알리는 연설을 통해 오는 10월 10일 75번째 북한 노동당 창건일을 완공 목표시기로 제시했고 직접 발파 단추까지 눌렀습니다.
한국 통일부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이번 병원 착공식 참석은 올해 들어 10번째 공개 활동으로 지난 1월 평안남도 순천의 인비료 공장 건설현장 방문 이후 두 달여 만에 이뤄진 경제 분야 활동입니다.
한국의 전문가들은 김정은 위원장이 북한 내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감염증 여파를 수습하기 위해 현 시점에 병원 착공식을 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올해 75번째 당 창건일에 주목하며 이를 목표로 한 여러 건의 건설 사업이 계획돼 있었겠지만 신형 코로나로 인해 목표 달성이 힘들어졌을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계획된 사업 수를 축소해 현재의 신형 코로나 국면에 들어맞는 평양종합병원 건설을 전면에 내세웠을 것이란 설명입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주요 건설사업의 폭을 매우 좁혀서 남은 공사 기간, 즉 10월 10일 전까지 완공 가능한 공사이면서도 좀 더 상징성이 있고 현재 국면에 적합한 사업에 관심을 갖게 됐을 것입니다.
홍 실장은 김 위원장이 이번 병원 착공식을 통해 신형 코로나 국면에 맞춰 주민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인민 친화적인 행보를 강조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착공식 참석에 그치지 않고 이례적으로 연설을 한 데 이어 직접 발파 단추까지 누른 것과 관련해서는 200일 정도 남은 당 창건일까지 어떻게든 성과를 내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내보인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공개된 평양종합병원 부지의 위치에도 주목했습니다.
홍 실장은 병원 부지로 추정되는 동평양 대동강구역의 당 창건기념탑 앞 문수거리 공터가 평양에서도 손꼽히는 요지라는 점을 언급하며 이 부분도 김 위원장이 당 창건일 75주년을 기념해 가장 중요한 사업으로 병원 신축을 택했다는 점을 뒷받침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병원이 완공되면 북한 당국이 이 상징적인 위치에서 대규모 기념식을 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최근 포 사격훈련 현지지도 등 군사 분야 공개행보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 김정은 위원장이 두 달여 만에 경제행보에 나선 것과 관련해서는 신형 코로나 때문에 빈도가 조정됐을 뿐 경제 분야에 소홀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평가했습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김 위원장이 장기간 동해안 지역에서 군사훈련 지도를 한 뒤 평양으로 돌아와 공개한 첫 현지지도가 종합병원 착공식이라는 데 주목했습니다.
김 교수는 이미 지난해 말 당 전원회의에서 보건 사업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며 병원 건설 사업이 오래 전부터 계획된 것일 가능성이 크며, 역시 이번 착공식이 신형 코로나 국면과 관련해 당 창건일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이어 북한 측이 공개한 부지마련 등 병원 착공 준비기간 2개월을 거슬러 올라가면 신형 코로나로 북중 국경을 차단한 시기와 맞물린다며 이때쯤 이미 평양에 신형 코로나 의심 환자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병원 건설사업의 우선순위를 최우선으로 돌렸을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한편 앞서 지난 13일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 사령관은 북한 당국이 코로나19 발병사례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자신은 북한 내 확진자가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