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코로나 대응 정치국회의 개최

0:00 / 0:00

앵커: 한국 내에선 북한이 최근 당 정치국 회의에서 남북관계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것은 한국에 대한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려는 것이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서재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3일 조선중앙통신 등 관영매체를 통해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힌 북한.

한국 통일부는 북한의 정치국 회의가 지난 2일 개최된 사실을 확인했다며 북한이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방역사업 강화와 당 사업 관련 중요 사항들을 논의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혜실 한국 통일부 부대변인: 이번 당 정치국 확대회의는 신형 코로나 방역 장기화 및 재확산과 관련해 방역사업을 재점검하고, 현재 추진 중에 있는 평양 종합병원 건설 및 관련 의료서비스 대책 마련을 목적으로 개최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지난 2월 28일과 4월 11일에도 김정은 위원장 주재로 정치국 회의를 열고 신형 코로나 대응을 논의한 바 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북한이 공식매체 보도 등을 통해 여전히 신형 코로나 확진자가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지만 남북 간 신형 코로나 등 감염병 협력 추진이 필요하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달 30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최근 북한 주민 255명이 신형 코로나 방역 관련해 격리 중이며, 확진자는 여전히 한 명도 없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북한 관영매체에 따르면 이번 정치국 회의에서 남북관계와 관련된 언급은 없었습니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는 이번 회의에서 남북관계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것은 한국에 대한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겠다는 북한의 판단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 지난 23일 김정은 위원장이 군사행동계획의 보류를 결정할 때도 왜 여태까지 군사행동을 격동해놓고 보류가 됐는지 북한 주민들에게 조차 제대로 된 설명이 없었습니다. 정치국 확대회의가 열렸음에도 여전히 그 문제에 대해서 언급이 없다는 것은 북한이 여러가지 가능성을 다 열어놓고 가고 있다는 판단이 듭니다.

박원곤 교수는 그러면서 지난달 24일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명의 담화에 언급된 것처럼 북한이 대북전단 규제법 제정 추진 등 한국 정부의 향후 행보에 따라 다음 행동을 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북한이 신형 코로나 확진자가 없다고 주장하는 상황에서 코로나 대응 문제를 이번 회의에서 주요하게 다룬다는 것 자체가 북한 내 코로나 상황이 여전히 심각하다는 것을 스스로 방증하는 셈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초부터 한국 내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를 이유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는 등 대남 적대행보를 이어왔지만 지난달 23일 당 중앙군사위 예비회의에서 대남 군사행동 계획의 보류를 결정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