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세계보건기구(WHO)는 여전히 북한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없다는 북한 보건성의 입장을 재확인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나 개성시 감염 의심 사례에 대해 자세한 사항을 확인하지는 못했다는 설명입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세계보건기구의 에드윈 살바도르(Edwin Salvador) 평양사무소장은 2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지난 20일 현재 북한에서 총 2천767명이 코로나19 검사를 받았으며,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는 북한 보건성의 통보가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WHO has been informed by the Ministry of Public Health, DPR Korea, that as of 20 August, 2,767 people have been tested for COVID-19 in the country and all have tested negative.)
다만 북한 당국이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된다고 주장했던 개성 월북 탈북민에 대해서는 "자세한 사항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덧붙였습니다. (WHO is yet to get details about the suspected case that was reported in Kaesong.)
앞서 7월 북한 관영매체는 한국에서 월북한 탈북민에 대한 검사를 진행한 결과 코로나19 감염자로 의심된다며, 지난달 24일 개성시를 봉쇄한 후 3주 뒤 봉쇄령을 해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외에도 살바도르 소장은 8월 20일 현재 북한에 1천4명이 격리중이며, 이들은 모두 북한 국적자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달 23-30일 동안 총 4천380명이 격리돼 있던 것에서 크게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어 지난 13일부터 20일까지 감염 의심자의 직·간접 접촉자를 포함한 총 3천781명이 격리 해제됐으며, 126명이 새롭게 격리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로써 지난해 12월 31일 이후 외국인 382명과 북한 국적자 2만9천579명을 포함해 총 2만9천961명이 격리 해제된 것입니다.
아울러 살바도르 소장은 지난 유엔아동기금, 즉 유니세프(UNICEF) 보고서와 마찬가지로 현재 다롄과 남포항 간의 운항이 중단됐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조치가 다롄항에서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현재 신의주-단둥 접경지를 통해 코로나19 관련 물품만 반입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실제로 신의주를 통해 2만5천개의 코로나19 진단 키트가 새로 반입됐으며, 소독 처리 이후 평양으로 운송될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이어 세계보건기구 측은 지금까지 1천명 검사가 가능한 코로나19 검사용 주요 시약인 프라이머와 프로브를 북한에 제공했으며, 2천900개의 개인보호장비(PPE)와 중국에서 조달한 실험용 시약도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또 유전자증폭(PCR) 장비 6개와 의료용 산소발생기(oxygen concentrator) 20개 및 적외선 체온계 600개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재미한인의료협회(KAMA)의 박기범(Kee Park) 미국 하버드대 교수는 2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코로나19 검사는 매우 자원 집약적이므로, 진단 키트 등 장비가 부족한 북한은 지금까지 광범위한 코로나 검사를 진행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박기범 교수: 북한으로 반입된 코로나19 진단 키트 숫자는 많아 봐야 수천개 쯤 됩니다. 그들은 북한 주민 전체를 위해 검사를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코로나 검사를 주민들에게 잘 배분해야 할 것입니다. (The number of test kits that have been sent in are thousands at most. So they will have to ration these tests and use it in a way that makes sense because they can't do a comprehensive testing protocol for the entire population.)
그는 이어 세계보건기구 측이 의료용 산소발생기(oxygen concentrator)를 공급한 것과 관련해 코로나19는 호흡기 질환이므로 이는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며, 북한이 코로나19 발병에 대한 최악의 경우를 대비한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외에도 살바도르 소장은 이번 전자우편에서 북한 수해 지원을 위한 응급보건세트(Inter-agency emergency health kit)와 콜레라 키트, 대피소 키트(shelter kit)를 중앙의약품관리소에 보관하고 있다며, 수해 복구를 위한 지원 의사를 밝혔습니다.
그러나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13일 노동당 정치국 회의를 통해 코로나19 방역을 이유로 수해 복구를 위한 외부 지원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한 바 있습니다.
코로나19와 관련한 외부 지원은 허용하지만, 수해 복구 지원은 거부한다는 입장입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 민간단체인 북한인권위원회(HRNK)의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2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홍수 피해로 인한 질병은 주로 일반 주민들이 걸리기 쉽지만, 코로나19는 북한 고위층 또한 걸릴 가능성이 높아 이와 관련한 지원을 허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습니다.
그는 또 코로나19 감염 의심자에 대해 북한 당국이 투명하게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며, 앞서 7월 한국 측 발표에 따르면 감염 의심자로 추정되는 이 탈북민은 사실 코로나19에 걸렸을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한국 질병관리본부는 지난달 30일 기자설명회를 통해 월북자 지인들 및 소지품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시행했지만, 코로나 바이러스(비루스)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