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유엔 등 국제기구들과 대북지원 민간단체들은 아직 북한에 대한 코로나19, 즉 코로나비루스 백신 지원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주민들이 내년 신속히 백신을 맞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됩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높은 수위의 방역 태세를 유지하는 한편 코로나 19 백신에 대한 자체 개발이나 외부 지원 등 백신 확보에 나서고 있다는 소식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지난 15일 일본 아사히 신문은 북한 상황에 밝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이 이미 러시아의 코로나 19 백신을 들여와 접종을 시작했다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러시아 외교부는 관련 보도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확인 요청에 29일 오후까지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그동안 코로나19 관련 대북지원을 해온 유엔 기구와 국제 비정부기구(NGO)들은 북한으로부터 백신 지원 요청을 받거나 백신을 공급할 계획이 아직 없다고 밝혔습니다.
유니세프(UNICEF), 즉 유엔아동기금의 쉬마 이슬람 아시아태평양지역 대변인은 이와 관련한 29일 자유아시아방송(RFA) 문의에 "코로나19 백신이 북한에 어떻게 보급될 지 말하긴 너무 이르다"고 답했습니다. (It is too early to talk about how the COVID-19 vaccines will be distributed in DPR Korea.)
지난해부터 꾸준히 북한에 의료 물품을 지원했던 국제 비정부기구, 국경없는 의사회 측은 29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내년 북한에 백신을 공급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We don't have any plans to provide COVID-19 vaccines in North Korea next year.)
국경없는 의사회는 지난 10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로부터 방호복, 방독 마스크 등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물품 제공에 대해 제재 면제 승인을 받은 바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여전히 코로나19 확진자가 전무하다고 주장하고 있는데다 국경 봉쇄로 방북이나 북한 내 이동이 제한되면서 국제기구들이 북한 내 코로나 19 상황을 파악해 백신 공급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기조차 쉽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북한인권위원회(HRNK)의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북한 당국이 국제사회의 백신 지원을 얻기 위해서는 투명한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 북한 당국이 코로나 19가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국제지원을 받을 수도 있고, 유엔 기구들의 지원을 받을 수 있고...
실제 유엔의 원조를 조율하는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이 이달 초 발표한 2021년도 인도주의 지원 계획 관련 보고서에서도 올해 현장 실사와 점검이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북한이 대상국에서 제외됐습니다.
북한이 수교국 주재 대사관에 파견된 외교관이나 일부 지원단체를 통해 비공식적으로 백신 지원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코로나19 발생 초기인 올해 3, 4월 북한에서 의료 활동을 한 바 있는 한국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소의 존 린튼 박사와 싱가포르 기업가 마이클 헹(Michael Heng) 박사는 북한 당국자로부터 코로나19 개인보호장비 지원에 대한 문의를 받은 적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헹 박사는 29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북한으로부터 백신 지원 관련 문의를 받은 적이 없다며, 요청을 받더라도 싱가포르 자체 대북제재 때문에 지원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싱가포르는 어떤 경우라도 북한과의 무역을 금지하고 있다"면서 "싱가포르 통상산업부(MTI)에 예외 신청을 할 수 있지만 거의 승인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한편 북한의 수교국으로 양국에 대사관을 두고 있는 스웨덴, 즉 스웨리예 외교부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관련 질문에 "현재로선 할 답변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밖에 코로나 백신 개발업체인 한국의 셀트리온과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 등은 29일 오후까지 자유아시아방송(RFA)의 대북 백신수출 관련 문의에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