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유럽연합(EU)이 북한 주민 약 540만 명이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북한 내 수해 상황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산하 인도지원사무국(ECHO: European Commission Humanitarian Office)은 10일 공개한 보고서에서 태풍4호 '하구핏'(Hagupit)으로 인한 집중호우와 강풍으로 북한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주민 약 540만 명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강원도 철원군 등 일부 남북한 접경지역 주민들이 한탄강의 범람 가능성으로 인해 대피하는 소동도 벌어졌습니다.
또 보고서는 최근 황해남도, 황해북도, 개성시 등에 시간당 약 2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졌다면서, 대동강, 예성강, 금야호 등이 범람할 우려도 있어 주변 지역에 큰 홍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한반도 시간11일 오후 5시께 북상하면서 울산 서북 지역에서 소멸한 제5호 태풍 '장미'도 북한 동해안 해역에 높은 파도를 일으켜 인명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며 우려했습니다.
특히 인도지원사무국에 따르면 올해 태풍이 연속적으로 계속 발생함에 따라, 북한의 홍수 및 폭우 피해가 더욱 늘어날 전망입니다.
실제 10일 한국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남중국해에서 발생한 제6호 태풍 '메칼라'까지 북상 중이어서 북한의 추가 비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앞서 유럽연합은 북한의 홍수피해가 심각했던 지난 2007년에는 2백만 유로, 미화 약 2백50만 달러의 특별 지원예산을 책정해 북한 이재민들에게 식량과 의약품, 깨끗한 식수를 제공한 바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유럽의 영세중립국인 스위스 외무부의 게오르그 파라고(Georg Farago) 대변인은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평양에 사무소를 두고 있는 스위스 개발협력청(SDC)이 북한 수해에 대한 지원에 나설지 여부를 아직까지 결정하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SDC has not yet taken a decision on the provision of assistance.)
특히 그는 "북한에서 계절성 호우가 계속되고 있어 앞으로 더 많은 폭우와 태풍이 올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그는 "스위스가 폭우와 관련된 상황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북한 내 '인도주의팀'(HCT·Humanitarian Country Team)과 협력해 진전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2000년부터는 아시아태풍위원회에 가입한 14개 국가에서 각국의 고유 언어로 된 단어를 10개씩 제출해 총 140개의 태풍 이름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글로 된 태풍 이름은 남북한이 아시아태풍위원회에 동시에 가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총 20개입니다.
올해 제4호 태풍 이름 '하구핏'은 필리핀에서 제출하였으며, 채찍질을 의미하며, 꽃이름 '장미'는 한국이 제출한 제5호 태풍 이름입니다. 제6호 태풍 '메칼라'는 태국(타이)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천둥의 천사를 의미합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