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캐나다 “북 ‘수해 지원’ 요청하면 협력할 것”

황해북도 은파군 대청리 수해현장. 곳곳의 민가 지붕이 처참하게 무너져 내리거나 주택 여러 채가 침수된 모습이다.
황해북도 은파군 대청리 수해현장. 곳곳의 민가 지붕이 처참하게 무너져 내리거나 주택 여러 채가 침수된 모습이다. (/연합뉴스)

0:00 / 0:00

앵커: 스웨덴(스웨리예)과 캐나다 정부는 북한이 홍수 피해와 관련해 지원을 요청한다면 이에 응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양에 대사관을 두고 있는 스웨덴(스웨리예) 외무부는 11일 북한 홍수 피해와 관련해 대북지원 및 협력 가능성을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스웨덴은 북한에 가장 큰 인도주의 기부국 중 하나"라며 북한의 지원요청이 있을 경우 대북 지원에 나설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스웨덴 외무부의 아그네스 얀손(Agnes Jansson) 대변인은 "스웨덴은 최근 폭우와 이에 따른 북한 홍수에 대한 보고들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스웨덴은 북한으로부터 최근 내린 호우에 대한 추가 지원요청을 받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어 스웨덴은 자연재해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북한과 같이 피해를 입은 국가들의 지원요청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들(mechanisms)이 준비돼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대북지원은 현장에 있는 유엔기구, 국제적십자사연맹(IFRC) 및 비정부기구를 통해 지원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캐나다의 외교·영사·교역 업무를 담당하는 글로벌사안부(Global Affairs Canada)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우리는 북한 수해 상황을 지속해서 면밀히 관찰하고 있고, 피해를 입은 사람들의 요구를 더 잘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해 인도주의 협력자들(humanitarian partners)과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글로벌사안부는 홍수와 태풍 피해를 입은 모든 북한 주민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글로벌사안부는 북한으로부터 신뢰할 수 있는 지원 호소(appeal)가 있을 경우, 캐나다는 가장 적절한 지원을 결정하기 위해 현장의 인도주의 협력자들과 협조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글로벌사안부에 따르면 캐나다는 대북 지원을 결정할 때 경험이 풍부한 인도주의 기관들과 협력하고 있으며, 북한 등 자연재해 피해국의 국제원조 요청과 인도주의 협력자들의 지원 호소를 기반으로, 이에 대한 필요성 평가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북한 당국과의 관계를 고려해 익명을 요구한 북한 주재 외교공관을 두고 있는 한 국가의 외교부 관계자도 1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의 홍수 피해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면서, 현재까지 북한 당국에서 어떠한 지원 요청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과거에 유엔 중앙긴급구호기금(CERF) 등과 같은 국제기구를 통해 북한 홍수 피해에 대한 지원을 해왔다면서, 필요할 경우 다시 지원을 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의장국인 독일 외무부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우리는 한반도 홍수에 대한 보고들을 살피고있다"면서 "이재민 가족과 홍수 피해를 입은 모든 사람들에게 애도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독일 외무부는 현재까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에서 북한의 홍수피해 지원을 위해 제재면제 신청이 있었는지 여부 등은 밝히지 않았습니다.

앞서, 한국 통일부의 여상기 대변인은 10일 기자설명회에서 현재 대북 지원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힐 단계는 아니지만 한국 정부는 요건이 되면 다각적으로 검토해 실시할 방침이라고 말했습니다.

여상기 대변인: 북한 측의 호우로 인한 피해도 상당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 북한 전 지역이 홍수로 인한 피해도 있었고 또 물 관리에 따른 애로가 컸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북한 관영매체들은 장마철 피해를 철저히 예방해야 한다며 연일 관련 보도를 쏟아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