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해안지대 홍수 ‘취약’…해수면 관측기 작동 안해”

0:00 / 0:00

앵커: 해수면이 조금만 상승해도 해안지대 홍수 위험이 급격하게 높아지기 때문에 세계기상기구(WMO)는 세계 각국과 연대해 해수면 변화를 측정하며 대응하고 있습니다. 북한도 해수면 관측기를 설치해놓기는 했는데, 작동이 멈춘 상태로 나타났습니다. 심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해수면이 오랜 시간 꾸준하게 상승하면 홍수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습니다. 해안선이 썰물과 조수 흐름에 견딜 수 있도록 적응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해수면이 갑자기 급격하게 상승하면 큰 파도나 해일 출발점이 높아져 해안가 방어시설을 덮칠 수 있을 정도로 커집니다.

이런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기상기구는 세계 여러나라와 함께 수시로 해수면을 관측하며 정보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해수면과 파도 정보 등을 분석해 해안가 침수 조기 경보체계를 가동하기도 합니다.

지난 10년 가까이 피지나 방글라데시, 도미니카 공화국 등은 세계기상기구 조기 경보체계를 통해 해안가 홍수를 예방하기도 했습니다.

세계기상기구는 20일 ‘해안 관측 시스템 보고서(Ocean Observing System Report)’를 통해 “피지 남쪽 해안에 배치된 측정 시스템을 통해 해안 침수예보와 경고를 강화했다”며 “2020년 4월에 심각한 열대성 저기압이 왔을 때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향후 30년간 기후변화로 해안가 홍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측정이 이뤄져야 하고, 예측과 조기 경보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해안가 홍수 예방을 위한 준비가 전무한 상탭니다.

이 보고서에서 북한 지역을 보면, 관측 장비가 수십개가 넘는 한국이나 일본, 중국과 달리, 관측기가 단 1개만 보입니다.

북한 강원도 원산에 ‘그로스 307(GLOSS, Global Sea Level Observing 307)’ 이라는 명칭으로 유엔 산하기관에 등록된 해수면 관측기(Tide Gauge)가 있습니다.

그런데, 세부정보를 보면 작동하지 않는 상태(INACTIVE)로 표시돼있습니다.

조기 경보 체계를 구축하려면 여러 곳에서 관측을 해야하는데, 북한은 관측기가 1개밖에 없고, 이마저도 작동을 멈춘 상태인 것입니다.

이에 대해 미 해군분석센터(CNA)의 켄 고스(Ken Gause) 선임국장은 2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은 경제적 생존을 위해 힘쓰기도 바쁘기 때문에 기후변화 대응에 쏟을 여력이 없었을 것이라며, 자국의 생태계가 망가지는 것을 알면서도 다른 나라에 어업권을 판매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North Korea is too busy trying to survive economically to expend much effort dealing with climate change. They over fish and sell their fishing rights to other countries that hurts the ecology.)

북한은 지난해 11월 영국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 당사국총회에 참석하는 등 기후변화 분야에는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여름, 북한은 집중호우를 겪으며 주민들에게 “재해성 이상기후가 전야를 위협하고 있다”며 “기민하게 대응하자”고 관영매체를 통해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일각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에 관심은 있지만 사회 기반 시설이 약한 북한’에 미국이나 한국이 다가가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습니다.

정치적인 부담이 적은 기후협력을 통해 북한과 교류의 문이 열릴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기자 심재훈,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