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코로나19(코로나비루스) 장기화와 대북제재 여파로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의료지원이 더욱 어려워지면서 비공식 의료 서비스에 의존하는 북한 주민들이 더욱 늘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됐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민간연구소 노틸러스연구소가 8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코로나 19의 북한 보건제도 영향과 남북 보건 협력 방안’ 보고서(Impact of Covid-19 on NK’s health system and future inter-Korean biomedical cooperation in the post-pandemic)에서 저자인 박상민 서울대 통일의학센터 부소장은 북한이 효율적인 백신 접종제도를 갖추고 있지만 실제 신속한 백신 도입은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보고서는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북한이 100~130가구 당 진료 담당의를 배정하는 제도를 갖추고 있으며, 이는 인구 1천명 당 의사 수가 평균 3.68명으로 한국 2,41명, 중국 1.98명보다도 많은 장점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보고서는 또 북한의 중앙집권적 담당의 제도는 접종 프로그램 운영이나 전염병 방역을 위한 검역 및 격리를 유지하는 데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이점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백신 제공과 접종에 이상적인 조건이 갖춰질 경우 10일 내 북한 전체 인구에 1차 코로나 19 백신 접종이 가능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그러나 잠재적 부작용을 이유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중국산 백신을 거부한 북한에 만성적인 전력 부족과 초저온 냉장보관 및 운송시설 부재로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을 지원하긴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여기에 백신 지원에 대한 지속 가능성을 판단하는 요인으로서 백신 가격이 중요한데 과거 개발도상국들이 코로나 19 이외 백신들에 대해 회당 평균 80센트를 지불했던 것과 비교해 현재 화이자, 모더나와 같은 코로나 19 백신의 회당 비용은 최대 50배나 높은 실정입니다.
보고서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강화와 코로나 19로 인한 북한 경제 악화, 여기에 북한 의료제도에 대한 만성적인 자금 부족이 더해져 북한 당국에 의한 의료 서비스 및 의약품 무료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미 많은 북한 주민들이 의사들에게 뇌물을 주고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장마당과 같은 민간 시장에서 의약품을 구매하면서 비공식 의료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고, 코로나 19는 이러한 추세를 심화시켰다는 설명입니다.
한편 박상민 부소장은 보고서에서 코로나 19에 대한 대응을 계기로 전염병 대유행 이후(포스트 팬데믹) 비무장지대(DMZ)에 남북이 공동으로 연구 및 임상실험을 하고, 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생명보건 단지를 조성하는 남북보건 협력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지난 7월 열린 2021 통일보건의료학회 춘계학술대회에 참가한 박상민 부소장의 발표 내용입니다.
박상민 부소장 :추후 남북 보건 의료의 교류 협력의 새로운 방안이 어떨 것인지, 그 중에 하나가 한반도 건강공동체의 협력 방안. 이부분은 건강안보와 건강권과 관련된 두 측면이 다 같이 포함됩니다. 이와 관련된 부분 중에서 한반도 국가 질병관리체계를 비간염성 질환과 간염성 질환을 모두 포함한 이런 형태의 국가관리 형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리라고 생각합니다.
박 부소장은 코로나 19를 비롯해 조류 인플루엔자, 아프리카 돼지열병 등 한반도 전역에서 각종 전염병이 발생하면서 남북한이 공동으로 전염병을 관리하고, 방역체계를 구축하는 협력체를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