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의 대북 구호단체 '조선의 그리스도인 벗들'이 결핵과 B형간염 치료 등 대북 의료지원 사업을 위해 이달 안에 북한을 방문할 계획이지만 대북제재로 인한 여러가지 행정 절차로 방북이 취소될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동부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위치한 대북 구호단체인 ‘조선의 그리스도인 벗들’(CFK)은 대북 제재와 미국 국무부의 여행금지 조치, 유엔의 승인 등 복잡해진 각종 행정절차로 대북 지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습니다.
이 단체가 최근 후원자들에게 보낸 활동 소식지에 따르면 북한과 B형 간염 진단과 결핵 치료, 2019년 결핵약 수급 현황을 논의하기 위해 11월 재방북하기로 결정했지만, 아직까지 미국 국무부의 여행 허가 신청이 승인되지 않았습니다.
특히 이 단체는 국무부가 방북 신청자 중 일부만 허용하거나 전체를 다 거절할 수 있어 방문이 완전히 취소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단체는 결핵 퇴치를 위해 북한을 지원했던 국제원조기구인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세계기금’(The Global Fund to Fight AIDS, Tuberculosis and Malaria)이 지난 6월30일부터 북한에 대한 결핵약 지원을 중단해 11월 방북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미국과 유엔, 중국의 복합적인 제재로 인해 현재 황해남도에 건설 중에 있는 제3 결핵 연구소 건설도 중단된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또 유엔 대북제재 면제승인 절차 때문에 지난 7월부터 결핵 및 간염 환자를 위한 정수 여과기가 중국 세관의 통관 절차를 끝내지 못하고 방치돼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인도, 즉 인디아나 중국 등 제3국에서 이뤄진 지원물품 구입 대금에 대한 국제송금도 금지돼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현재 대북제재로 인해 북한 내 결핵 병동 보수 작업과 온실 건설, 트랙터, 즉 뜨락또르 지원, 의료 장비(환자용 바닥재) 지원, 건설장비(로프, 충전식 조명기기, 우물 시추기) 등 대부분의 지원 활동이 보류 중인 상태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조선의 그리스도인 벗들’(CFK)은 13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전화통화에서 국무부에 11월 방북을 신청한 사실만 확인한 채 말을 아꼈습니다.
CFK 관계자: 지금 자세한 사항을 말씀해 드릴 수 없습니다.
이 단체에 따르면 지난해 9월 1일부터 발효된 미국인 북한 여행 금지 조치 이후 4차례 방북허가를 받았습니다.
한편, 이 단체는 지난 8월31일부터 9월22일까지 노르웨이인 3명, 폴란드(뽈스까)인 1명, 호주(오스트랄리아)인 1명, 미국인 8명 등을 포함한 총 14명의 단체 관계자가 황해도와 평양, 개성, 해주의 치료센터22곳을 방문해 B형 간염 치료와 지원물품이 제대로 도착했는지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이 단체는 이번 방북 기간 홍수 피해로 인해 황해도 곳곳의 다리가 붕괴돼 이동에 지장이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293명의 환자를 검진했고, 173명의 새로운 환자를 치료하기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