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통일부가 북한에 한국 정부의 보건협력 제안에 호응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는 15일 기자설명회를 통해 남북 간 방역, 보건협력이 필요하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여상기 한국 통일부 대변인은 한국 청와대가 지난 14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통해 남북 간 보건의료협력 문제를 논의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북한이 한국 정부의 제안에 호응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여상기 한국 통일부 대변인: 어제 NSC에서 발표한 자료에 나온 남북방역 협력 관련해서는 기존 입장과 같습니다. 한국 정부는 남북 간 보건협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고 이를 위해 북한이 호응해 나오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앞서 지난 14일 정의용 한국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주재한 NSC에서 상임위원들은 남북 간 보건의료협력 문제와 한반도 평화정착을 꾸준히 추진해나가는 문제들을 논의한 바 있습니다.
여 대변인은 IFRC, 즉 국제적십자연맹의 대북 방역지원 물품이 북한에 반입됐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정확한 상황을 알지 못한다며 이와 관련해 시간을 갖고 파악해 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현재 일부 한국 민간단체 차원의 대북 방역 지원은 이뤄지고 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지난 3월 반출 승인한 8만 달러 규모의 손소독제가 이달 초 한국의 민간단체를 통해 북한에 전달됐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또한 지난달 반출 승인한 16만 달러 상당의 방호복 2만여 벌 지원은 현재 진행 단계입니다.
다만 남북 당국 간 방역, 보건 협력은 북한이 소극적인 입장을 지속하고 있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한국 내에서는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확진자가 없다고 밝힌 북한으로서는 한국 정부의 방역 협력 제안을 받아들일 명분이 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김형석 전 한국 통일부 차관: 북한은 명분이 중요합니다. 신형 코로나 확진자가 없다는 것이 북한의 입장인데 이를 한국 정부와 협력하자면 입장이 곤란할 겁니다.
일각에서는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재개 등을 원하는 북한으로서는 남북 방역, 보건협력에는 흥미가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남광규 매봉통일연구소장은 "북한은 한국 정부가 자신들이 원하는 사업을 추진하기를 원할 것"이라며 "특히 미국의 눈치를 보지말고 과감하게 남북경협을 하라는 것이 북한의 입장이기 때문에 방역, 보건협력 같은 제안은 받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