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CDC “2020년 북 홍역 환자 6천여 명, 사망 7명 추정”

0:00 / 0:00

앵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지난 2018년 세계보건기구(WHO)로 부터 '홍역 퇴치국가' 인증을 받은 북한에 여전히 수 천명의 홍역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경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조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최근(19일) 북한 등 동남아시아 지역의 홍역 환자와 사망자 현황을 예측∙분석한 보고서 ‘홍역 퇴치를 위한 진전-동남아시아 지역, 2003-2020’(Progress Toward Measles Elimination-South-East Asia Region, 2003-2020)을 발표하고 2020년 기준 북한에 홍역 환자가 6,019명, 사망자는 7명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질병통제예방센터는 보고서를 통해 “지난 2018년 세계보건기구가(WHO)가 북한을 ‘홍역 퇴치 국가’로 인증했다”면서도 “자체 연구결과에 따라 북한에 여전히 홍역 환자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질병통제예방센터는 2003년에 북한의 홍역 환자가 6만6,795명, 사망자가 168명 발생한 것으로 추정돼 2020년 기준 90% 이상 환자와 사망자가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또 보고서는 2003년에서 2020년 사이 홍역 예방접종으로 북한 주민 3,382명이 목숨을 구한 것으로 보인다며, 2020년에 북한 주민의 99% 이상이 1,2차 홍역 예방접종을 모두 받았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이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한 수디르 카날 박사는 3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보고서에서 언급된 수치는 실제 (홍역 환자와 사망자의) 수가 아닌 추정치로 학문적 연구자료라는 점을 명심해야 하고 보고서에서 언급한 것처럼 확실한것은 아니”라면서도 “하지만 이 같은 보고서는 모든 사람들이 완전히 보호받을 때까지 아무도 홍역과 같은 전염병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해당 국가(북한)에 알리는 데 도움이 되며, 그 나라(북한)는 전 세계가 홍역에서 벗어날 때까지 경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We need to be mindful that these are models and not real numbers and are academic exercises. The model has inherent uncertainty as described in the discussion section of the article as a limitation of this article. The model however helps to alerts the country that the job is not yet done and until everyone is protected no one is safe from such infectious disease like measles and thus the country will need to keep the guard high up until the world is free of measles.)

북한에서는 2014년 이후 홍역 환자가 발생했다는 사실이 대외적으로 공개되지 않으면서 홍역이 완전히 퇴치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 세계보건기구는 2018년 8월 북한 내 홍역 환자가 3년간 1명도 발생하지 않았고, 홍역 2회 예방접종률이 95% 이상을 유지했다며 북한과 동티모르 2개국을 홍역퇴치국으로 인정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사태가 발생한 이후 북한이 방역을 위해 국경을 봉쇄하면서 전염병 예방 백신이 북한에 제대로 반입되지 못해 홍역 환자도 다시 발생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입니다.

실제 유엔 산하 세계보건기구와 유니세프(UNICEF∙유엔아동기금)가 지난달 말 발표한 예방접종 현황에 따르면 북한 어린이의 2차 홍역 예방접종률은 2020년 99%에서 2021년 41%로 급감했습니다.

한편 CDC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등 11개국의 홍역 추정 환자수는 2020년 기준 약 2,552만명, 추정 사망자는 약 5천명입니다.

보고서는 WHO와 NUICEF가 지난 7월 발표한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됐으며 신뢰구간(CI)은 95%입니다.

기자 조진우,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