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마이클 커비 전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위원장은 위원회 설립 10주년을 맞아 COI 북한인권보고서의 권고사항을 제대로 이행하기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서혜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 민간단체 북한인권위원회(HRNK)는 26일 홈페이지에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설립 10주년을 맞아 커비 전 위원장의 기고문을 게재했습니다.
2014년 발간된 COI 북한인권보고서 작성을 주도했던 커비 전 위원장은 기고문을 통해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보고서의 권고사항 등을 반영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취할 수 있는 조치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지난 2013년 COI 설립을 결정하고 북한에서 이뤄지고 있는 인권침해 실태를 조사할 임무를 조사위원회에 부여했습니다.
커비 전 위원장은 당시 북한인권보고서가 발표된 후 청문회를 통해 구체적인 증거 사례들을 제공함으로써 북한 정권의 인권유린에 대해 알리며 국제적으로 이목을 집중시켰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COI 보고서를 포함해 북한 인권 기록을 담은 유엔 연례보고서 및 다른 유엔 인권 보고서들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이러한 보고서들을 일회성으로 읽고 잊어버리는 것이 아닌 보고서의 권고사항에 대한 이행과 후속 조치를 고려하는 정기적인 제도가 필요하다”고 권고했습니다. (There needs to be a regular system for considering their implementation and follow-up.)
커비 전 위원장은 지난 12월 한국의 북한인권단체인 ‘성공적인 통일을 만들어가는 사람들’이 인권의 날을 맞아 주최한 행사의 격려사를 통해 말뿐 만이 아닌 행동으로 북한 인권 문제를 다뤄야 할 때라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커비 전 위원장 : (북한인권조사위원회 설립 10주년을 맞아) 그간 '우리가 무엇을 성취했는가'에 대해 생각해봐야 합니다. 유엔과 한국 국민 및 정부가 북한 인권에 대해 얘기하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습니다. 행동으로 옮겨 후속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기자 서혜준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