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노르웨이가 북한 의료 및 재난 대비 사업에 200만 노르웨이 크로네, 미화 약 20만 달러를 기부했습니다. 조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이 24일 공개한 ‘국제사회 대북지원 현황자료’에 따르면, 노르웨이 정부는 지난달 28일 노르웨이 적십자사를 통해 200만 노르웨이 크로네(Norwegian Krone), 즉 미화 약 20만($199,601) 달러를 지원했습니다.
이에 대해 노르웨이 적십자사의 토르벤 비요르케-헨릭센(Torben Bjørke-Henriksen) 아시아 담당 고문(Senior Advisor for Asia)은 2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 지원금이 북한적십자사(조선적십자회)의 인도적 활동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The mentioned funds will has been used for support to the humanitarian activities of the DPRK Red Cross.)
그러면서 그는 “해당 기금은 의료 장비 및 재난 대비 물품 구입을 위한 인도적 지원에 할당되었다”며 “구체적으로 의료 장비는 개인보호장비와 기타 의료물품을, 재난 대비 장비는 텐트와 위생 용품, 방수포 등”이라고 설명했습니다. (The committed funds have been allocated to in-kind humanitarian support towards health equipment and also disaster preparedness items. More specifically, the health items consist of PP equipment and other health consumables. The Disaster Preparedness items consist of tents, hygiene kits, tarpaulins and other items.)
또 현재 북한으로 직접 자금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해당 기금은 인도적 물품의 조달을 담당하는 ‘국제적십자연맹’(IFRC)에 할당되며, 수령자는 ‘북한적십자사’라고 밝혔습니다. (Currently there is no functioning bank channel into North Korea. The Norwegian Red Cross funding is allocated to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ed Cross and Red Crescent (IFRC), which is responsible for procurement of shipment of the above mentioned humanitarian goods. The recipient of the goods is the DPRK Red Cross.)
아울러 그는 (북한의) 국경 봉쇄로 지원 물품이 아직 북한에 도착하지 않았으며, 이를 위해 필요한 승인이 나오기를 기다리는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Due to the border restrictions the consignment of in-kind has not yet reached North Korea awaiting the required permits to be shipped into the country.)
노르웨이는 지난해에도 노르웨이 적십자사를 통해 두 차례에 걸쳐 약 45만 달러($233,563/$221,043)를 북한에 지원한 바 있습니다.
대북지원을 지속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그는 “노르웨이 적십자사가 1990년대 후반부터 북한과 협력하고 지원해오고 있다”며 “북한은 장기화되는 식량 불안정과 높은 수준의 영양실조, 인명구조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부족, 자연재해 대비에 높은 취약성을 특징으로 하는 복잡한 인도적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The Norwegian Red Cross has been working with and supporting North Korea since the late 1990s. The country faces a complex humanitarian situation, characterized by protracted food insecurity and high levels of malnutrition, a lack of access to basic and lifesaving services and high vulnerability to natural disasters.)
이어 “이러한 요인들이 2020년 이후 코로나 바이러스(비루스)으로 인해 악화되었다”며 “따라서 노르웨이 적십자사는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는 한 북한 주민들을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Since 2020, these factors have been aggravated by the global COVID-19 pandemic. The Norwegian Red Cross is therefore committed to support the people of North Korea as long as this situation prevails.)
한편 26일 현재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의 국가별 자금 모금 현황에 따르면, 국제사회가 올해 북한에 지원하거나 지원을 약정한 금액은 약 173만($1,731,168) 달러입니다.
앞서 지난 19일 자유아시방송(RFA)은 스위스 정부가 올해 약정한 대북지원금 52만 달러를 전액 지원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기자 조진우,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