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한 등 자료 부족한 국가 식량실태평가 우선시해야”

사진은 평양 부근의 논에서 비료를 주고 있는 농민.
사진은 평양 부근의 논에서 비료를 주고 있는 농민. (/AP)

0:00 / 0:00

앵커 :올해도 전 세계적으로 식량수급 상황이 크게 불안정한 가운데 식량실태에 대한 자료 부족으로 북한은 올해 유엔이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식량위기국가' 명단에서 제외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유엔 관계자는 자료 수집이 어려운 국가들에 대한 식량 평가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서혜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식량계획(WFP) 등 유엔 산하 국제기구 연합체인 세계식량위기네트워크(Global Network Against Food Crises)가 4일 ‘2022 세계식량위기 연례보고서(Global Report on Food Crises 2022)’를 발표했습니다.

2022 Global Report on Food Crises.png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식량계획(WFP) 등 유엔 산하 국제기구 연합체인 세계식량위기네트워크(Global Network Against Food Crises)가 4일 발표한 ‘2022 세계식량위기 연례보고서(Global Report on Food Crises 2022)’.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급성식량불안(acute food insecurity)’ 상황에 놓인 세계 인구는 1억 9천 300만명에 달하며, 이는 지난 6년 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보고서는 북한이 지난 2016년 ‘위기상태 이상 등급 (Crisis or worse)’에 포함된 이후 정기적으로 ‘식량위기국가’ 포함대상이었지만 이에 상응하는 추정치를 산출하기 위한 자료 및 증거가 불충분해 ‘식량위기국’ 명단에서 제외돼왔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난 6년 간 북한은 FAO에서 세계 각국의 식량생산 및 식량안보에 대한 정보 제공 역할을 맡고 있는 ‘세계식량정보 및 조기경보체계’(FAO GIEWS)가 외부에 지원을 요청하거나, 식량난 충격(faced shocks)에 직면한 국가 명단에 단 한번밖에 포함되지 않았단 설명입니다.

‘위기상태 이상 등급’에 포함되는 국가는 ‘긴급조치가 필요한 상태(Urgent action required)’로 식량 비상사태(Emergency) 및 기근(Famine) 현상을 겪는 국가를 말한다고 보고서는 소개했습니다.

식량농업기구의 레이첼 산티니(Rachele Santini) 비상사태∙복원 부서 공보관은 4일 자료 부족으로 ‘식량위기국’ 명단에 포함되지 못한 북한 등의 국가들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 질의에 해당 국가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는 일은 여전히 도전과제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등 국가들에 대한 자료 부재를 감안할 때 실제 ‘급성식량불안’에 직면한 전 세계 인구가 이번 보고서의 추정치보다 더 많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산티니 공보관은 이어 이러한 불충분한 자료는 북한을 포함한 특정 국가에 대한 관심의 잠재적 불균형(a potential imbalance in the attention)을 야기한다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아울러 식량난과 관련한 정보 부족 국가들에 대한 평가와 분석을 우선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식량농업기구의 취동위(Qu Dongyu) 사무총장도 이날 화상으로 진행된 보고서 설명회에서 FAO는 모든 차원의 식량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주민들, 협력국 및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지난달 29일, 중국 단둥시에 코로나19(비루스)가 확산하면서 중국 정부가 단둥시를 폐쇄했는데, 이로 인해 북중 화물열차 운행이 중단돼 비료와 농자재 수입이 어려워져 북한의 식량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기자 서혜준,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