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유엔과 국제적십자사연맹(IFRC) 등 국제사회의 올해 대북 지원모금액 실적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1일 현재 유엔을 통한 국제사회 기부금의 흐름을 집계하는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재정확인서비스’(FTS)의 지원 관련 상세내역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기준 현재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액은 모두 약 1천 540만(15,444,252) 달러입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올해 대북 지원금은 스위스가 전체의 약 55.8%인 약 621만(6,212,611)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어 스웨덴(스웨리예)($1,739,387), 유럽연합($1,183,538), 캐나다($1,170,960), 핀란드($586,166), 노르웨이($233,563), 독일($15,715) 등의 순으로 약 1천540만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11년 이후 모금액 최저를 기록했던 2014년의 약 3천 320만 달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실제 인도주의업무조정국에 따르면 2011년 이후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은 2012년 약 1억 1천 780만 달러로 최고액을 기록한 후, 2013년 약 6천 280만 달러, 이후 지난해 약 4천만 달러까지 매년 약 3~4천만 달러대를 유지했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유엔은 코로나19로 인한 북한의 국경봉쇄와 방역 조치로 현지 상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며, 올해 대북지원 계획과 목표 모금액을 발표하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 세계식량계획(WFP) 등은 코로나19에 따른 북한 당국의 이동제한 조치로 실사 자료 취득과 현장 평가를 하지 못해 지원 계획을 세울 수 없다고 밝한 바 있습니다.
아울러 국제적십자사연맹(IFRC)이 1일 갱신한 올해 대북지원 모금 현황 보고서에서 이날 현재 194만 스위스 프랑(CHF 1,940,859), 즉 미화 211만 달러만이 모금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올해 대북지원 목표액 347만 스위스 프랑(CHF 3,471,383), 즉 미화 약 380만 달러의 56%에 불과한 수치입니다. (사진참고)

보고서에 따르면 스웨덴 적십자사가 미화 약 50만 달러(CHF 457,066)로 가장 많은 지원을 했고, 이어 노르웨이(CHF 372,365), 영국(CHF 125,208), 중국(CHF 119,623), 독일(CHF 7,563)적십자사 순으로 북한 지원에 나섰습니다.
올해 국제적십자사연맹의 대북지원 목표 금액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북한 내 건강과 복지 격차 해소를 위해 약 155만 달러(CHF 1,435,008)가 분야별 목표금액 중 가장 많았으며, 이어 기후환경 위기대응에 약 74만 달러(CHF 691,559), 재해 위기대응 약 72만 달러(CHF 672,160) 등의 순으로 총 8개 항목에 총 약 347만 스위스 프랑(CHF 3,471,383), 즉 미화 약 380만 달러가 책정됐습니다.
한편, 미국 국무부의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지난달 4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정치와는 별개 사안이라며, 북한 주민들에게 필요한 인도적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프라이스 대변인: 우리는 북한 주민들의 인도적 필요성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 결정하기 위해 우리의 동맹 그리고 파트너(협력국)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기자 이경하,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