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영국 외무부는 올해 상반기 북한의 인권 상황에 개선된 점이 없었다는 평가를 내놓았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국 외무부가 현지시간으로 23일 발표한 ‘인권우선국: 2021년 상반기 장관 성명’ 보고서.
영국 외무부는 보고서에서 2021년 1월에서 6월까지 북한 내에선 광범위하고 조직적인 인권침해가 지속됐다며 북한인권 상황이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당국이 지난해 초 코로나 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에 대한 대응으로 국경을 봉쇄한 이래 영국은 북한 주민들의 곤경이 악화됐을 것을 우려해왔다고 밝혔습니다.
또 북한 내 국제적 주체들의 부재로 인해 북한인권 상황 개선을 위한 활동이 더욱 어려워졌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더해 북한 주민들을 인권 침해로부터 보호해야 할 북한 당국의 책임을 상기하는 유엔 결의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와의 협력과 유엔 특별보고관의 방북 허용을 지속적으로 거절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북한 헌법은 표현, 종교, 언론, 집회의 자유 등을 보장하지만 실제로 북한 주민들은 이 중 어떤 자유도 누리지 못한다고 말하며 비정부기구 등은 북한 내 심각한 인권침해에 대한 충격적인 보고서를 발간해왔다고 말했습니다.
다음해 초 주한영국대사로 부임할 예정인 콜린 크룩스 북한주재 영국대사는 24일 인터넷 사회연결망인 트위터에서 보고서의 북한 관련 내용을 공유했습니다.
앞서 영국 외무부는 지난 7월 발표한 ‘인권과 민주주의’ 연례 보고서에서 북한의 입국제한으로 운영이 불가능해진 평양주재 대사관을 2020년 5월 잠정 폐쇄했지만 크룩스 대사는 인권 문제에 대해 북한 관리들 그리고 유엔 인권 전문가들과의 관여를 지속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중국, 러시아, 아프가니스탄 등 30개 국가들과 더불어 북한을 인권문제가 특히 우려되는 인권우선국으로 분류했습니다.
영국 외무부는 2016년 인권우선국 분류를 시작한 이래 6년 연속 북한을 명단에 포함해왔습니다.
기자 이정은, 에디터 오중석